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당선 이후 가상화폐 규제 완화 기대로 랠리를 벌이던 비트코인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는 18일(현지시간)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이 지난주 큰 폭으로 하락한 데 이어 23일(미 동부시간 기준) 9만2000달러대로 미끄러지며 약세를 보였다.
업계에서는 향후 몇 주간 더 약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 가상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8분 기준 비트코인 1개당 가격은 24시간 전보다 3.12% 내린 9만2523.66달러에 거래됐다.
이는 1주일 전인 지난 16일 오후 3시의 10만60637달러에 비해 약 13% 하락한 가격이다.
가상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의 지난 일주일간 낙폭은 지난 8월 이후 약 4개월 만에 최대치였다.
블룸버그 통신은 영국 런던 시간을 기준으로 이날 오전 10시까지 7일간 비트코인 가격이 9.5% 하락했다면서 지난달 6일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처음으로 주간 하락세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연준이 당장 기준금리를 시장의 예상대로 인하하면서도, 내년 속도조절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시사하면서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은 금리를 헤지하는 성격이 큰데, 기준금리 인하 폭을 줄이면서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트럼프 2기 행정부 들어서면서 각종 규제가 완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파월 의장이 트럼프 2기 정부에서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트코인 전략자산 비축과 관련해 “우리(연준)는 비트코인을 소유할 수 없다”고 일축한 영향으로도 풀이된다.
연준의 이런 발표 내용으로 당일 미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5%대로 급등했다. 일반적으로 미 국채 금리 상승은 가상화폐나 주식 등 위험자산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결과를 낳는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