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탈(脫)한국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달 들어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이미 11조 원을 넘어섰다.
13일 <매일경제> 보도에 따르면, 전날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에서는 비트코인이 오후 3시 기준으로 10만 618달러에 거래됐다. 지난 9일 수익 실현 물량으로 비트코인이 9만 4000달러까지 급락했으나 이틀 만에 다시 10만 달러를 돌파했다.
미국 주식 시장과 비트코인 등의 위험 자산이 일제히 상승한 이유는 미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에 부합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져 가상자산 시장의 상승세를 촉진했다.
가상자산 분석 업체 디파이라마는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이 이날 2018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고 전했다. 이는 올해 초 시가총액인 1304억 달러보다 54.75% 증가한 수치다.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또한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에는 11일(현지시간) 2억 2310만 달러가 순유입됐으며, 10거래일 연속 순유입을 기록 중이다.
하지만 국내 코인 시장에서는 탈한국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달 들어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대금은 11조원을 넘어서며, 지난달 기록한 16조 1705억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테이블코인은 1달러로 고정된 가상자산으로, 이 같은 거래 증가 추세는 불안한 국내 정치 상황과 관계없이 거래가 가능한 해외 거래소로의 수요가 급증했음을 시사한다. 최근 국내 코인거래소들이 신규 상장을 늘리면서 해외 거래소와의 차익 거래를 노리는 투자자들이 많아졌고, 스테이블코인 수요 역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더퍼블릭 / 손세희 기자 sonsh82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