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백악관에 입성하면서 우리나라 정부도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다. 그간 트럼프 당선인의 경우 우리나라를 겨냥해 “방위비 분담”, “부자나라” 등의 발언을 내건 만큼 국내 상황도 복잡하게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기간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기 위해 중국산 수입품에는 60% 이상의 관세를, 중국 외 국가에서 들여온 수입품에는 10∼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에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경제부처들도 상황 논의에 나서는 분위기다.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미국) 행정부 출범 후가 아니라 경제부총리를 컨트롤타워로 하는 금융·통상·산업 3대 분야 회의체를 즉시 가동하라”고 지시했다.
이날 경제·안보 점검 회의는 트럼프 정부 출범 등 대외여건 변화가 우리 경제 및 안보 상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외여건 변화에 따른 경제·안보 점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미국 새 행정부의) 예상되는 정책 기조가 있기 때문에 벌써 국제 시장이 반응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통상 분야는 정부 지원이 산업과 기업 경쟁력에 큰 영향을 주는 만큼 업계와도 긴밀하게 소통하라“며 ”책상에 앉아서 얘기하지 말고 많은 기업 관계자를 직접 만나 대화를 많이 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지난 7일 트럼프 당선인과의 통화에서 ”가급적 이른 시일 안에 만나서 친교와 대화를 할 시간을 잡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점검 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미국 신 행정부의 대선 공약을 중심으로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통상 분야의 예상 정책 방향을 먼저 짚어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철저하고 차분하게 영향을 분석하고 우리 기업과 함께 대비해 나갈 것“이라며 ”신 행정부의 공식 출범 전에도 긴밀히 소통하며 우리 입장을 전달하고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과 관련해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 내 경제 전문가, 공화당 내에서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를 두고 여러 논의가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우리 기업과 함께 대비하면서 미국 측과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