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르네상스 이끈 ‘尹세일즈외교’...체코+불가리아 43조 수주릴레이

원전 르네상스 이끈 ‘尹세일즈외교’...체코+불가리아 43조 수주릴레이

  • 기자명 최얼 기자
  • 입력 2024.11.09 21:42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북 울진군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 전망대에서 방명록에 서명하고 있다(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0일 경북 울진군 한국수력원자력 한울원자력본부 전망대에서 방명록에 서명하고 있다(연합뉴스)

[더퍼블릭=최얼 기자]9일 원전업계 안팎의 반응을 종합하면,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과감하게 폐기하고 친원전 정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면서 고사 위기에 내몰렸던 국내 원전 산업을 다시 정상궤도에 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세일즈 외교'를 앞세워 해외 원전 건설 사업을 수주하는 쾌거도 이룬 것을 토대로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 ▲탈원전 대못 뽑기가 ▲원전산업 활성화 등을 마련했다는게 그 이유다.

에너지업계 등에 따르면 글로벌 원전 시장 규모는 점차 확대돼 2036년이면 1500조원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윤 정부의 원전 산업 정상화는 문 정부와 가장 대비되는 점으로 '원전 강국'으로서의 재도약의 지렛대가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앞서 문 정부는 취임 5개월 만에 원전 6기 건설 백지화를 선언하며 탈원전을 못박았다. 이는 당시 우수 인력들의 이탈과 더불어, 국내 원전 산업이 급격히 퇴보를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신한울 1·2호기가 완공된 뒤에 운영 허가를 받지 못해 수년간 상업운전이 지연된 것도 전 정부 탈원전 정책의 그림자다.

한 관계자는 "문 정부 5년만에 50년간 쌓아온 원전산업 생태계가 붕괴돼 고시 직전이었는데 만약 정권이 5년 더 이어졌더라면 회생 불가능에 이르렀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즉,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이 분명 원자력 업계를 힘들게 만들었다는 것.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11월 상임위 심사 과정에서 원전 관련 예산 1800억원을 전액 삭감한다. 여야 막판 협상에서 정부안대로 전액 복원됐지만 민주당의 원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란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당시 원자력지지시민단체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문재인 정권 시절 초토화되고 말았던 원자력 산업계를 다시 일으키려는 윤석열 정부의 노력을 아예 뿌리째 뽑아버리겠다는 몽니"라고 일갈했다.

반면 윤석열 정부는 원전 확대 정책을 펴면서 국내 원전 업계는 이른바 '르네상스'를 가져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 윤석열 정부는 2022년 5월 출범 이후 국정과제 중 하나로 '탈원전 정책 폐기'와 '원전 생태계 복원'을 강조하고 원전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하나둘 굵직한 성과를 일궈냈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원전 10기 수출과 2027년까지 원전 설비 10조원 수출이라는 세부 목표도 세웠고, 원전 생태계 부활을 위해 정부가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 정상 차원의 원전 세일즈 활동으로 힘을 실어줬다. 한국 기업의 세계적인 원전 기술 경쟁력도 시너지를 내면서 글로벌 원전 시장에서 수주 낭보가 잇따랐다.

이에대한 성과로 최근 UAE의 바라카 원전을 수주한 지 15년 만에 체코 원전을 수주했고, 최근에는 이어 불가리아 원전 설계계약을 수주했다. 체코 원전은 24조원 규모로 UAE 바라카 원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불가리아 원전 사업비도 19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