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29일 서울 여의도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기후에너지환경부와 기상청 등에 대한 종합감사에서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11/282791_284122_5521.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전기 요금 인상 압박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한국전력이 '재생 에너지 확대'라는 세계적 흐름을 멈추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단기적 비용 부담을 감수하더라도 에너지 전환의 방향을 거스르지 않겠다는 것이다.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은 지난 5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BIXPO 2025' 기자 간담회에서 "전기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해서 재생 에너지 확대를 중단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재생 에너지 발전 단가가 원전이나 석탄보다 높지만, 이를 이유로 멈춘다면 결국 재생 에너지 후진국에 머물 것"이라며 "국민 동의를 바탕으로 재생 에너지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계가 "전기 요금 부담이 커진다"며 정부의 재생 에너지 보급 정책에 우려를 나타낸 데 대한 반박 성격이다.
김 사장은 "사우디아라비아나 아랍에미리트(UAE)는 일찍부터 재생 에너지를 도입해 킬로와트(㎾h)당 발전 단가가 2~3센트 수준"이라며 "지속적인 확충이 결국 단가를 낮춘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재생 에너지 확대를 위한 구조적 제약이 여전하다는 것이다. 한전은 전력 판매를 담당하지만, 직접 발전 사업에 직접 뛰어들 수 없다. 김 사장은 이에 대해 "해상 풍력은 초기 투자비가 천문학적으로 커 민간이 단독으로 추진하기 어렵다"며 "한전이 일정 부분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여건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 독점 논란을 피하면서도 공기업이 초기 위험을 분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 사장의 발언은 한전의 역할 확대를 둘러싼 규제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에선 "정부의 탄소 중립 정책과 한전의 현행 법적 지위가 충돌하는 구간이 많다"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전날 정부가 발표한 '분산 에너지 특구' 지정에 대해서도 김 사장은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지산지소(地産地消) 구조가 가능해져 송전망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동시에 한전의 전력 판매량이 줄어들 수 있다"며 "기회이자 위기"라고 말했다. 정부는 제주·전남·부산·경기 등 4곳을 포함한 7개 후보지 가운데 일부를 특구로 지정했다.
한편, 한전은 동해안~수도권 송전선로의 마지막 구간으로 꼽히는 '동서울변전소 증설' 문제와 관련해 "하남시의 인허가가 여전히 미정"이라고 밝혔다. 서철수 전력계통부사장은 "하남시는 주민 수용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라며 "편의 시설과 복합 사옥 건립을 제안하고 있지만 인허가 절차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