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김건희 여사에게 부친과의 과거 친분관계를 내세우며 접근해 불법 촬영 중 명품 파우치를 놓고 간 최 목사의 사건을 두고 야권에서 사과와 진상규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여권에선 김 여사가 명백한 피해자인 만큼 오히려 김정숙 여사와 김혜경씨의 옷값과 법인카드 사용 내역을 특검으로 추진해야 된다는 입장이다.
20일 정치권 등을 종합하면, 여권에서는 해당 사건이 불거진 직후부터 김 여사가 “사과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 나왔었다. 그럼에도 여권 일부 지지자들과 야권은 김 여사가 사과를 해야 된다는 주장을 해왔다.
실제로 청탁금지법에도 김 여사가 아닌, 선물을 제공하며 청탁을 한 사람이 처벌을 받게 된다. 최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에서도 김 여사의 디올 파우치 문제는 사과를 해야된다고 주장해 여권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피해자가 왜 사과 하나”
전여옥 전 의원과 김소연 변호사는 지난 19일 유튜브 ‘전여옥TV’에서 “피해자가 왜 사과를 해야 하느냐”고 입을 모으기도 했다. 이들은 서울의소리가 선물까지 준비해 최 목사를 시켜 불법으로 촬영을 한 것은 엄연한 불법이라는 취지로 말했다.
김 변호사는 신혼 초에 소위 ‘도를 아십니까’에 속아 현금을 뽑아다가 줬던 일화를 소개하면서 “엄마가 수술을 해 아팠었던 때라 (그 사람의 말이) 너무 무서웠다”며 “당하려고 당하는 게 아니다. 가족 언급하고 가슴 아픈 일 얘기하면 사람이 (속지 않는 건) 쉽지 않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당한 사람한테 왜 뭐라고 하느냐”고 덧붙였다.
전 전 의원은 이어 “대단한 문제도 아니다. 김건희 여사가 동물 보호를 많이 해서 동물 가죽으로 된 제품은 사용하지도 않는다고 들었다”면서 “20대 때에야 명품백 들기도 하고 그랬겠는데, 그렇기 때문에 양가죽으로 된 파우치 건 백이 건 간에 받아서 쓸 리가 없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명이라든가, ‘이렇게 이렇게 된 거고, 내가 이랬다’라고 얘기를 해야된다고 생각하는데, 지금은 타이밍이 아닌 거 같다. 지금은 무슨 얘기를 하더라도 (상대 측은) ‘납작 엎드렸다’, ‘사주했다’ 이렇게 몰아갈 것”이라고 했다.

MBC 제3노조는 디올 선물 사건이 불거진 직후인 지난해 11월 29일 성명을 내고 “오로지 영부인이 명품을 받으면 촬영해서 고발보도하고 욕보이려는 악의적인 목적만 있었다. 그런데 김영란법 위반이라니? 처음부터 이 선물 공여는 불법적으로 대통령 경호구역에 잠입해 교묘히 짜놓은 각본에 따라 영부인을 방심하게 하여 선물을 건네고 촬영에 성공하도록 계획된 범죄였다”라고 꼬집은 바 있다.
이들은 이어 “각본대로 촬영해 수개월을 기다렸다가 영부인 특검법 공세와 총선에 맞춰 방송이 나가자 다음날 민주당에서 김영란법 위반이라고 했다가 이제는 뇌물이란다. 이런 한심한 음해공작에 공영방송 MBC 기자가 사표를 던지고 나가 진행을 하고 유튜브 한자리에 함께 하고 있다니 MBC가 왜 이리 망가졌나 한숨만 나온다”라고 토로했다.
이 때문에 김 여사를 촬영했던 손목시계형 카메라도 MBC 소유 장비가 아니냐는 의구심도 일고 있다.

쌍특검 “묻고 더블로 가!”...“미혼 때 털어? 고위공직자 배우자들 특활비, 법인카드 전수조사”
그러면서 쌍특검을 받자고 주장했었던 부분과 관련해 김 변호사는 “서울의 소리가 김 여사 목소리를 7시간 분량을 녹음했다고 하면서 MBC를 통해서 방송하겠다고 했을 때, 여러분(지지자)들은 어떠셨느냐. ‘아 망했다’ 이러지 않았느냐. 그 이유는 김건희 여사를 믿지 못해서였다. 윤 대통령은 점잖은데, 김 여사가 뭔가 큰 실수를 했을 거 같고, 엉망으로 다닌 거 아니냐는 상상들을 하셨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그런데 막상 목소리 나왔더니 어떻게 됐느냐. (통화 녹음) 목소리는 젊은 남성들 인기가 많이 올라갔다. 저희 같은 젊은 여성들도 ‘저 언니 걸크러쉬인데?’라고 했다. 내용은 사실상 민주당 쪽에 꼬투리 잡을 게 꽤 있었는데, 일만 잘하면 우리가 이것도 줄 수 있지 사실 이런 말들에 다 묻혀 버렸다”라고 했다.
그는 “야당이 던지면 우리는 ‘특검 받을 게, 어 묻고 떠블로 가!’ 우리 받을테니까. 결혼하기도 전 시절인 김건희 여사 (도이치모터스) 문제를 탈탈 털자는 건데, 그러면 김정숙, 김혜경은 공인 시절 공수처에서 수사 대상인 고위 공직자들의 배우자 아니냐”라면서 “그 대상인 사람들은 전부다 똑같이 밝혀보자. 주식 보유 여부, 과거 전부 털고 법인카드 김정숙 여사 관봉권 옷 사입었다는 특활비 논란도 전부다 밝히는 걸로 ‘전수조사 합시다’라고 던지자라고 했던 것”이라고 했다.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도 “쌍특검 운운할 게 아니라 혐의가 드러나고 증거가 확보된 김혜경 여사 법인카드 유용 사건이나 김정숙 여사의 명품옷 구매 의혹 사건을 특검하겠다고 천명하는 것이 사리에 맞을 것”이라고 한 바 있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