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더불어민주당 비이재명계 지역구에 친명계 인사들이 연이어 도전하면서 비명계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다시 한번 친명계와 비명계간의 계파 갈등이 다시 불거지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검증위가 18일 당 홈페이지에 발표한 ‘12차 검증 심사 통과자 명단’에는 김우영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대표와 양문석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이 포함됐다.
김 상임대표와 양 전 상임위원은 친명계 인사로, 각각 서울 은평을과 경기 안산 상록갑에 도전장을 낸 상태다.
은평을은 비명(비이재명)계 재선 강병원 의원, 상록갑은 비명계 3선 전해철 의원의 지역구다.

이들이 잇따라 적격 판정을 받으면서 비주류인 비명계에서 제기한 ‘비명 찍어내기를 위한 친명 자객 출마’ 논란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민주당 지지자들 내에서는 비명계 인사들이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에 ‘가결표’를 던진 것을 두고 해당 행위라며 비판한 바 있다. 특히 친명계 인사들도 이를 비판하면서 징계요구가 빗발쳤는데, 당시 이재명 대표가 단식을 중단하고 복귀하면서 ‘화합’ 메시지를 내면서 일단락 된 바 있다.
가결표를 던진 의원들에 대해 사실상 아무런 징계도 내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현역 의원 물갈이론이 나왔으며 현재 이들이 비명계 지역구에 각각 도전장을 내미는 것도 이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 내 징계전력 있어도 검증위 ‘통과’에 ‘공정성’ 논란 불거지나
아울러 김 상임대표와 양 전 상임위원이 최근 징계 전력이 있는데도 적격 판정을 받은 것이어서 검증위의 공정성 논란도 불거질 것으로 보인다.
김 상임대표는 지난해 12월 강원도당위원장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은평을 출마 의사를 밝혔다가 당 지도부로부터 ‘주의’ 조치를 받았다.
양 전 상임위원은 지난해 11월 전 의원을 비명계 멸시 용어인 ‘수박’이라고 칭했다가 ‘당직 자격정지 3개월’ 징계를 받았다.

또 친명계 정봉주 전 의원(사진)은 지난 8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월 총선에서 서울 강북을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인 정 전 의원이 도전하는 곳은 비명계 박용진(재선) 의원의 지역구다.
이를 두고 박용진 의원이 정 전 의원을 겨냥해 ‘성비위 트로이카’라며 공세를 펼치면서 논란이 됐다. 이에 정 전 의원이 법적 대응을 시사하며 양측 공방전이 격화하고 있으며 일부 강성 당원들은 박 전 의원이 허위사실을 공표했다며 윤리심판원에 징계 청원서를 제출하기도 하는 등의 잡음이 일고 있다.

김부겸 전 총리 “이재명 대표와 당 지도부가 더 노력해야 한다”…친명 공천 ‘우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원로인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19일 당내 분열상과 관련해 “이재명 대표와 당 지도부가 더 노력해야 한다”면서 당 통합과 공정한 공천에 힘써달라고 당부했다.
김 전 총리는 이날 MBC 라디오에서 “예비 후보 검증위원회 과정을 통해 조금 납득하기 어려운 조치가 있었다”며 “잣대가 많이 흔들렸다는 비판이 나오지 않나. 근거 없는 이야기는 아니지 않으냐”고 지적했다.
이는 최근 ‘자객 출마’ 논란을 빚은 친명(친이재명)계 후보들이 대거 공천 사전 검증 절차인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 심사를 통과한 것을 비롯해 일각에서 나오는 ‘친명 공천’ 우려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