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 씨가 2021년 9월 신학림 전 민노총 언론노조위원장과의 인터뷰에서 ‘윤석열이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할 때 대장동 대출 브로커 조우형에게 커피를 타주고 사건을 무마했다’는 취지의 허위 주장을 한데 대해, 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은 8일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 은폐의 진짜 비리 주범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목했다.
이철규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김만배가 신학림 전 위원장과 했던 허위 인터뷰 내용의 핵심은 2011년 부산저축은행 사건 수사 시 당시 중수과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이 대출 브로커 조우형의 수사를 무마해 줬다는 내용인데, 이것은 모두 새빨간 거짓말임이 드러났다”며 “그렇다면 부산저축은행 수사를 무마해 준 사람이 누군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부산저축은행 비리 은폐 사건의 주범은 당시 청와대 수석으로 있던 문재인 전 대통령이라고 지목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철규 총장은 이어 “이는 막연한 추측과 주장이 아니라 검찰 수사로 인해 밝혀진 내용으로, 다만 그 수사결과가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을 뿐인데, 2012년 당시 새누리당 이종혁 의원이 문재인 민정수석이 금감원에 전화해 압력을 넣어 부산저축은행 조사를 무마했다고 주장했다가 문재인 측으로부터 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으로 피소당한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나아가 “5개월 후 검찰은 이종혁 의원의 주장이 허위사실이 아니었다며 이종혁 의원에게 ‘혐의없음’ 처분을 내렸다”면서 “사실을 확인하고 증거에 입각한 처분이었고, 이에 대해 고소를 했던 문재인 측은 어떠한 이이의 제기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장은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이 부산저축은행 측 부탁을 받고 조사 중인 금감원 유모 국장에게 선처를 바라는 부탁성 전화를 한 것도 사실로 확인됐고, 금감원이 영업정지 처분이 마땅한 어마어마한 비리를 발견하고도 부산저축은행에 기관경고라는 가장 느슨한 처벌을 내린 것도 사실로 확인됐다”고 부연했다.
이어 “그 뒤 문 전 대통령이 25%의 지분을 소유했던 법무법인 부산은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단순한 빚 독촉 업무를 그냥 해결해주고, 4년간 59억원이라는 뇌물성 수임료를 받은 것도 사실로 확인됐다”며 “이것은 단순한 주장이나 의혹 제기가 아니라 검찰의 불기소 결정서에 나와 있는 팩트로, 사실이 아니라면 또다시 허위사실을 공표했다고 고소하시라”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더 이상 더불어민주당과 또 이재명의 대장동 게이트를 가지고 윤석열 게이트니 뭐니 하면서 물타기 프레임 전환하기를 포기하기 바란다”며 “대장동 게이트는 이재명 게이트고, 부산저축은행 수사 무마는 문재인 민정수석과 그들 진영에서 이뤄졌던 비리 사건이었다”고 덧붙였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