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말레이시아에서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 회의 일정을 소화한 뒤 일본에 도착했다. 이번 1박2일간 일본방문은 2기 집권 후 첫 아시아 순방의 두 번째 방문지다. 이날 각종외신에서는 일본판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가 체결될지 여부에 이목을 집중한다.
28일 외신보도 등에 따르면, 27일 오후 도쿄 하네다공항에 도착한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일본 황궁을 찾아 국빈 방문 일정을 진행했다. 트럼프의 일본 방문은 한국에서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담(29일)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30일)보다 앞선 것으로, 아시아 순방의 ‘전초전’이다.
미국과 일본은 경제·안보 측면에서 한층 밀착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대중국 견제 메시지가 예상된다. 백악관과 일본 언론에 따르면, 트럼프는 이날 저녁 6시 30분쯤 도쿄의 황궁에서 나루히토(연호 레이와) 천황을 30분간 예방했다.
트럼프의 황궁 방문은 이번이 세 번째다. 지난 1기 집권 때인 2017년에는 헤이세이 천황, 2019년에는 레이와 천황과 만났다. 6년 만에 트럼프를 다시 만난 레이와 천황은 트럼프를 현관에서 맞으며 “또 만나게 돼 기쁘다”고 영어로 말했다.
나루히토 천황은 미국 메이저리그 야구에서 활약 중인 오타니 쇼헤이 등 일본인 선수가 화제에 오르자 “미국 사회가 따뜻하게 받아주어 감사하다”고 말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28일)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일본 총리와 만나, 미·일 동맹의 방위비 분담 조정, 조선 협력, 희토류 공급망 동맹, 대미 투자 계획 등을 주요 의제로 회담할 전망이다. 다카이치 총리는 트럼프의 방위비 증액 요구에 부응해 ‘방위비를 국내총생산(GDP)의 2% 수준으로 조기 상향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본판 ‘마스가’(MASGA·미국의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협력을 추진하고, 희토류 공급망을 공동 구축하는 양해각서에 각각 서명할 계획이다. 미·일 정상회담은 도쿄의 영빈관 ‘아카사카리큐’에서 진행된다. 1909년 황태자의 궁전으로 지은 영빈관은 일본이 최고로 예우하는 국빈 대접 때 쓰는 장소다.
트럼프는 지난 아베정권 당시 “진정한 친구”라며 우호적인 모습을 보인 바 있다. 이에 처음 만나는 다카이치에 대해서도 좋은 인상을 남기려고 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트럼프는 지난 24일 아시아 순방길에 오를 당시 기자들에게 “그(아베)는 그녀(다카이치)가 마음에 들었고, 그녀도 그를 따랐다. 이는 좋은 징조”라고 했다.
이로인해 일각에서는 미일간 마스가 프로젝트가 체결되면서, 한국간 조선업 협력이 지체되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시각도 존재한다. 일부 네티즌들은 “한국 대신 일본이랑 조선업 협력하는거 아니냐”,“한국 조선업 협력 괜찮을라나”, “3500억불 낼 바엔 차라리 좌초되는게 나을 듯”등의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외에도 일본 정부는 또 영빈관에 미국의 자동차 산업 전성기를 이끈 포드의 픽업트럭 ‘F-150’을 전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자동차를 구매하지 않는 일본에 불만을 터뜨리는 트럼프에게 다카이치는 “도요타자동차가 미국 공장에서 제조한 자동차를 일본으로 역(逆)수입하겠다”고 밝힐 것으로 전해진다.
양 정상간 헬기 동반 탑승도 예정됐다. 28일 오후 두 정상은 도쿄의 미군 헬기 정류장에서 미국 대통령의 전용 헬기 ‘마린 원’에 올라,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에 있는 미 해군 요코스카 기지로 이동한다. 요미우리신문은 “미 대통령의 전용 헬기에 외국 정상이 탑승하는 건 이례적”이라며 “강고한 일·미 동맹을 과시하려는 목적”이라고 했다.
한편, 저녁에는 일본 주요 재계 인사들과 리셉션 및 만찬을 갖는다. 트럼프는 미국 내 투자를 확대하는 일본 기업들을 격려하고, 일본 정부는 미국산 에너지·군수품 수입, 미·일 공동 인프라 프로젝트 확대 등을 제안할 계획이다. 이번 방일은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경제·안보 동맹’ 구상에서 일본이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