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 한때 시가총액 9조 원을 기록했던 2차전지 테마주 금양이 유상증자(유증) 납입을 세 번째로 연기했다. 시장 신뢰가 크게 흔들리는 가운데, 상장폐지 위기에도 불구하고 24만여 명에 달하는 소액주주들은 별다른 집단행동에 나서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금양은 지난 9월 17일로 예정됐던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을 10월 17일로 한 달가량 미루기로 했다. 이번 결정으로 금양의 유증 일정은 세 번째 연기를 맞게 됐다.
이 회사는 지난 6월 사우디아라비아 ‘스카이브 트레이딩&인베스트먼트’와 유증 계약을 체결해, 보통주 1300만 주·상환우선주 1400만 주를 발행하기로 했다. 조달 자금은 △2500억 원은 2차전지 공장 준공 △1550억 원은 배터리 설비 투자에 투입하겠다는 청사진이었다.
그러나 돈은 세 차례나 들어오지 않았다. 8월엔 “해외 송금 과정에서 추가 지연이 발생했다”고 했고, 9월에는 “사우디 측 자금 송금 절차가 순탄치 않다”고 해명했다.
이번엔 “투자사가 반드시 투자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표명했으며 조정된 일정에 따라 납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단순한 송금 문제로 세 차례나 일정을 미룬다는 설명이 납득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투자금 납입이 지연될 때마다 원인이 모호하게 바뀌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양은 이미 신뢰 리스크가 누적된 상태다. 지난해 주주배정 유증 계획을 철회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고, 올해 외부감사에서 감사의견 ‘거절’을 받아 상장폐지 실질심사 대상에 올랐다.
거래소는 지난 5월 이의신청을 받아들여 1년의 개선기간을 부여했지만, 올해 반기 검토에서도 또다시 ‘의견 거절’이 나왔다.
감사의견 거절은 외부감사인이 기업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했음을 뜻한다. 통상 기업 존속 가능성에 심각한 의문이 제기될 때 내려진다.
이 같은 상황에도 금양의 소액주주 연대는 이례적으로 조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자 <조선비즈> 보도에 따르면, 플랫폼 ‘액트’에는 금양 투자자 약 3000명이 모여 있고, 카카오톡 단체방도 4~5개에 달하지만 아직까지 공동 행동에 나서는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가 류광지 회장과의 면담을 추진 중이지만, 다른 상폐 위기 기업들처럼 트럭 시위나 임시 주총 요구 등 적극적 대응은 없다고 한다.
이 같은 낙관론의 배경에는 초기 투자자들의 존재가 있다는 분석이다. 금양 주가가 2023년 19만 원까지 치솟았다가 거래 정지 직전 9900원으로 곤두박질쳤지만, 매수가가 4000~5000원대였던 초기 주주들은 여전히 ‘기대감’을 거두지 않고 있다.
유상증자가 성사되면 여전히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커뮤니티 내 여론을 주도하면서 낙관적 정서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고점에 물린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체념에 가까운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일부 투자자들의 손실률은 80%를 웃도는 수준으로, 유상증자가 무산될 경우 사실상 회복이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 투자자 커뮤니티에서도 “이미 손실이 너무 커 기대를 접었다”는 반응이 적지 않다.
투자자들은 이제 다시 회사의 향후 행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오는 17일 납입이 또다시 지연된다면, 금양이 그간 강조해온 ‘정상화 의지’는 설득력을 잃고 시장 신뢰는 사실상 회복이 불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