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국가 재정 적자 94조원…올해 국가채무 1302조원 추산

상반기 국가 재정 적자 94조원…올해 국가채무 1302조원 추산

  • 기자명 김영일 기자
  • 입력 2025.08.14 14:4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4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관리재정수지는 94조3천억원 적자였다.
14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관리재정수지는 94조3천억원 적자였다.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올해 상반기(1∼6월) 국가 재정 적자가 94조 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100조원을 넘었던 지난해 상반기보다 다소 개선됐으나, 역대 4번째로 큰 규모다.

14일 기획재정부가 공개한 ‘월간 재정동향 8월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총수입은 320조 6000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24조 7000억원 증가했다.

국세 수입은 190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조 5000억원 늘었다. 법인세는 지난해 기업실적 개선 및 법인 이자‧배당소득 증가 등으로 14조 4000억원 증가했다.

소득세 또한 해외주식 호황 등으로 양도세 증가, 성과급 지급 확대 및 근로자수 증가에 따른 근로소득세 증가 등의 영향으로 7조 1000억원 늘었다.

세외수입은 19조 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2조 9000억원 늘었고, 기금수입도 111조 2000억원을 기록해 4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환급 증가 및 증권거래대금 감소 등의 영향으로 부가가치세와 증권거래서가 각각 1조 4000억원, 1조 2000억원 감소했다.

총지출은 389조 2000억원으로, 전년 보다 17조 3000억원 증가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68조 6000억원 적자를 냈는데,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장성 기금 25조 7000억원 흑자를 제외한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94조 3000억원 적자였다.

국가 재정 적자 94조 3000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조 1000억원 개선된 수치지만, 2020년(110조 5000억원)과 2024년(103조 4000억원), 2022년(101조 9000억원)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많은 규모다.

이번 수치는 지난 5월 통과된 1차 추가경정예산까지만 반영된 것으로, 7월부터 집행이 시작된 2차 추경은 오는 9월 발표되는 7월 말 기준 재정동향에 포함될 예정이다.

2차 추경 반영 시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다소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6월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전월(5월)보다 6000억원 증가한 1218조 4000억을 기록했다. 2차 추경까지 반영되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를 합친 올해 국가채무는 1301조 9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49.1%로 전망된다.

<이미지=연합뉴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