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은 이근원 단장이 지난 3일~10일까지 미국을 찾아 한미 유해발굴 협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했다고 11일 밝혔다. 아울러 지난 2011년 부터 주기적으로 개최중인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도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 본부(DPAA)에서 진행됐다고 밝혔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근원 단장과 켈리 맥케그 미 DPAA 국장은 유해의 상호 봉환 시기 등을 논의했다. 현재 미국에서 한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7구이며, 한국에서 미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3구로 알려진다.
양 국 유해 상호봉환 시기로는 '6월 호국보훈의 달', '유엔군 참전의 날'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여섯차례 상호봉환행사는 2016년을 제외하고 모두 대통령 주관으로 시행됐다.
아울러 6·25전쟁에 유엔군 일원으로 참전했다가 전사한 튀르키예 군 유해 4구의 인수는 이달 중 실시하기로 했다. 현재 미 DPAA에서 보관하고 있는데, 1996∼2005년 북한 지역에서 북미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 3구와 1984년부터 하와이 국립묘지 재개장 과정에서 발굴된 무명용사 유해 1구다.
이들 유해 4구는 미 DPAA와 유엔군사령부를 거쳐 국유단이 인수했다가 11월 재한유엔기념공원 안장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 단장은 이 밖에도 방미 기간 미국 참전용사 증언을 청취하고 전사자 유해를 찾기 위한 대한민국 국방부의 노력과 성과를 발표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