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정진철 기자] 자유통일당 이동민 대변인은 5월 30일 논평에서 최근 사전투표에서 불거진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며, '사전 투표'가 사실상 '부정선거'로 읽힐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29일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투표소에서 발생한 투표지 외부 반출과 '밥그릇 투표' 논란을 언급하며 선관위의 부실한 선거 관리에 깊은 우려를 표했다. 그는 선관위가 투표지 외부 반출의 원인을 '대기 공간 협소'와 관리관 개인의 책임으로만 돌리고, 핵심 쟁점인 투표자의 본인 확인 절차 누락 의혹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또한 선관위의 미흡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30일에도 선거 관리 부실 문제가 계속 터져 국민적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대치동의 한 사전투표소에서는 선거관리원 A씨가 자신과 남편 신분증으로 두 번 투표하는 사건이 발생해 경찰이 조사에 들어갔고, 부천과 김포의 사전투표소에서는 각각 1장씩, 총 2장의 지난 22대 총선 투표용지가 투표함 속에서 발견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구멍이 송송 뚫린 부실한 선거 관리로는 '소쿠리 선거', '배춧잎 투표지' 같은 과거 논란이 '밥그릇 투표', '대리 투표', '총선 투표' 등으로 더욱 확대될 뿐"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선관위가 필요할 때만 헌법 기관임을 내세우고 정작 선거 관리는 부실하게 한다면 존립 위기에 처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끝으로 이 대변인은 일련의 투표 관리 부실에 대해 선관위 자체 해결이 어렵다면, 국민 신뢰를 회복할 때까지 사전투표 폐지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
이동민 대변인 논평 ■ '사전 투표’라고 쓰고, ‘부정선거’라고 읽는다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투표소에서 29일 발생한 투표지 외부 반출과 당시 외부 대기 중이던 일부 시민들의 식사 후 투표, 일명 밥그릇 투표가 논란이 됐다. 그러나 선관위 해명에도 불구하고 30일에 또다시 선거 관리 부실 문제가 다량으로 불거지며 국민적 불신감만 키우고 있다. 선관위는 29일 해명 자료를 통해 당시 길어진 대기 줄에 비해 투표용지 발급 속도를 조절하지 못한 게 관리 부실의 주원인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투표지 외부 반출에 대해 ‘사전 투표 관리관이 대기 공간 장소 협소로, 외부로 이동시켜 대기하게 했다’라며 관리자 개인에게만 떠넘기기에 급급한 모습이었다 무엇보다 논란의 핵심일 수 있는 실내로 복귀한 투표자의 본인 확인 절차가 없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조차 없었다. 30일 이런 선관위 해명에도 불구하고 한 시민단체가 노태악 선관위원장 포함 3인을 고발 조치했다. 또 관련 논란이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은 채 서울 대치동의 한 사전투표소에서 또다시 문제가 발생했다. 선거관리원으로 등록한 60대 공무원 A 씨가 자신과 남편의 신분증을 이용해 투표를 두 번 하는 일이 발생해 경찰이 조사에 들어간 것이다. 부천과 김포의 사전투표소에서는 각각 1장씩, 총 2장의 지난 22대 총선 투표용지가 투표함 속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국민 사과문보다 중요한 건 선관위의 제대로 된 선거 관리다. 구멍이 송송 뚫린 부실한 선거 관리로는 ‘소쿠리 선거’, ‘배춧잎 투표지’ 등의 지난 논란이 또다시 ‘밥그릇 투표’, ‘대리 투표’, ‘총선 투표’ 등으로 더 확대될 뿐이다. 급할 때는 헌법 기관이라는 말만 내세우고, 정작 선거는 이렇게 부실하게 관리한다면 선관위는 존립 위기에 처할 것이다. 일련의 투표 관리 부실에 대해 선관위 자체로 해결이 어렵다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때까지 사전 투표 폐지 등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2025년 5월 30일 자유통일당 대변인 이동민 |
더퍼블릭 / 정진철 기자 jeong344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