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20일 서울 서초구 고속터미널역 인근에서 집중유세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5/263929_263793_1641.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국산 대형 언어 모델(LLM) 및 인공지능(AI)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양향자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 겸 반도체·AI 첨단 산업본부장은 지난 21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기자 회견을 열고 '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한 추가 공약을 발표했다. 양 위원장은 "AI는 두뇌, 반도체는 심장"이라며 "김문수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국가가 인프라를 깔고 민간이 주도하는 도전국가 모델로 세계 AI 주도국으로의 도약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AI 분야에선 먼저 3년 내 국산 LLM 개발을 목표로 'K-OpenAI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를 위해 네이버, 카카오, 삼성, LG, KAIST 등 국내 주요 기업과 연구 기관이 참여하는 민관 컨소시엄을 구성할 계획이다.
개발된 AI는 공공 AI로 활용되며,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허브를 통해 전면 오픈소스로 개방해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AI 고도화에 필요한 학습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는 공공 데이터 허브를 구축하고, 산업별 공공 서비스형 데이터(DaaS) 체계를 마련하며 'AI 데이터 신탁제' 및 데이터 이동권 도입을 추진한다.
AI 반도체 독립 전략으로는 뉴로모픽·데이터 프로세싱 유닛(DPU)·신경망 처리 장치(NPU) 등 차세대 AI 반도체 국산화에 집중해 엔비디아 등 해외 기업 의존도를 낮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연 2조원 규모 'AI 반도체 혁신펀드'를 조성하고 전국에 'AI 반도체 실증 센터'를 신설해 기업 맞춤형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K-반도체 점프업 전략'의 하나로 팹리스, 소부장, 파운드리 등 3대 분야에 집중 투자하며 대통령 직속 'K-반도체 컨트롤타워'를 설치하고 민관 합동 '초격차 연합체'를 구성해 핵심 R&D 예산과 인력을 투입한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공사 인허가 간소화, 예산 전폭 지원, 인재 양성 체계 마련을 통해 기존 2030년 완공 목표를 2028년으로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AI 운영에 필수적인 전력 확보를 위해서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기반 24시간 분산형 전력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AI 개발에는 특별 전력요금 인센티브 및 스마트 그리드 도입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인재 양성 분야에서는 AI 핵심 인재 10만명 육성을 목표로 등록금·생활비·인턴십 전폭 지원과 졸업 후 취업 연계, 군 대체복무 인정 등의 혜택을 제공할 계획이다.
규제 완화 차원에서는 '전국 AI 규제 샌드박스'를 도입해 지역별 AI 특화 규제 유예를 허용하고, 'AI 혁신 허가제'를 통해 규제 심사 기간을 30일 이내로 단축한다. 대구는 의료 AI, 광주는 교통 AI 분야에서 실증 특구를 지정해 기술 개발을 가속화한다는 구상이다.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서는 '기술 사다리 프로젝트'를 통해 국산 부품 사용 시 세제·가점 혜택을 제공하고, 공공 공동 팹과 클린룸을 무상으로 초기 지원한다. 더불어 연 1조원 규모 반도체 공정 거래법 및 소부장 특화 펀드도 추진한다.
대외적으로는 '국가 반도체 전략물자 보호법'을 제정해 핵심 기술을 보호하고, 기술 유출 및 외국 자본의 M&A에 대한 사전 심사를 강화하며 'K-반도체 위기 대응본부'를 상설 운영할 방침이다. 정부 의사 결정 구조 강화를 위해서는 대통령 직속 '미래전략부'를 신설하고, 민간 출신 국가 최고AI책임자(CAIO)를 임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양 위원장은 "민주당 이재명 후보 측 주장은 반기업 정서와 비현실적 구호에 머물러 있다"며 "김 후보는 산업 현장의 실질적 니즈를 반영한 실행력 있는 정책을 펼칠 유일한 후보"라고 말했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