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MBC가 군이 12‧3 비상계엄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할 것을 염두에 두고 종이 관과 시체 운송용 영현백을 준비했다는 취지의 보도를 내보낸 것과 관련, MBC 내부에서는 “막장 음모 보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MBC 내 비(非)민노총 계열인 제3노동조합은 19일 성명을 내고 “윤석열 대통령 헌법재판소 판결을 앞두고 정치적 긴장이 극에 달하는 가운데 MBC가 또다시 못된 버릇을 드러내며 도발에 나섰다”면서 “어제(18일) 뉴스데스크는 톱뉴스로 [軍 ‘시신수송 가방’ 3천 개 더 준비했다]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내보냈다. 2군단 소속의 한 군무원이 지난해 8월 민간 업체에 종이관 1천 개 구매 가능 여부를 타진했고, 육군은 작년 12월에 시체 운송용 ‘영현백’을 기존 보유량의 2배 가까운 3,114개를 추가 구매했다는 내용”이라고 밝혔다.
제3노조는 “그러면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 메모에 나오는 정치인 등 ‘수거대상’과 처리 방안 내용 등을 언급함으로써, 마치 군이 12‧3 계엄으로 많은 사망자가 발생할 것을 염두에 두고 종이관과 영현백을 준비한 것처럼 몰아갔다”며 “시청자들 입장에선 상상만 해도 무시무시한 공포 유발 리포트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3노조는 이어 “우리는 국론이 양분돼 극히 민감한 이 시기에 공영방송이 이처럼 무책임하고 다분히 정치적 의도가 담긴 보도를 자행했다는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보도의 경위 등에 대해 면밀히 진상을 조사해 보도 준칙에 어긋남이 없는지 확인할 것을 사측에 요구한다”고 했다.
특히 “우리는 기본적으로 보도 내용의 객관성과 정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우선 ‘종이관’과 관련해 MBC가 직접 취재한 내용인가 묻지 않을 수 없다. 해당 업체 관계자 인터뷰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직접 만나 취재한 흔적도 없다”며 “또한 군무원과 업체 관계자가 8월 22일 오후 12시 40분에 휴대폰 문자를 주고받은 것처럼 CG를 만들었는데, 이런 사안을 문자로 문의하는 게 상식적인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제3노조는 “MBC가 업체 관계자의 실제 문자를 확인한 것인지, 혹은 제3자가 정리해서 제보한 내용을 MBC가 CG로 재구성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하다”면서 “만약 제보를 바탕으로 했다면 업체 측에 확인을 했어야 하고, 문자 내용을 재구성했다면 ‘재구성’이라고 표시했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보도 내용에 따르면 실제 구매로 이뤄지지 않았다고 한다. 또 군은 ‘지난해 을지 자유의 방패 훈련 중 전시 사망자 처리에 대한 아이디어 차원으로 논의했다가 실효성이 없어 중단한 계획’이라고 해명했다고 한다”며 “군은 전시 같은 만약에 사태에 대비해 시신 운송 작전 등에 대해서도 훈련을 해야하는 조직이다. 군이 전시 대비용 종이관 조달 방안 등에 대해 검토했을 수 있다. 실제 구매하지도 않은 종이관을 계엄과 연관 짓는 것은 ‘몰아가기’ 보도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3노조는 “뉴스데스크는 또 군의 영현백 3천 개 조달 사실 역시 계엄으로 인한 사상자 발생 대비용이라고 몰아갔는데, 군은 ‘2022년 합참 지침에 따라 중기 계획상 반영된 물량이 12월에 납품된 것으로 비상계엄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와 관련 한가지 확인이 필요하다. 육군은 매년 한 차례 영현백을 조달한다고 한다. 그러면 군이 지난해 12월 영현백을 조달했다고 돼 있는데, 12월 3일 계엄 이전인지 이후인지 밝혀져야 할 것”이라며 “이후라면 국방부 조달 계획에 따른 것으로 계엄과 연관 지어선 안 될 것이다. 계엄이 실패했는데도 계엄용 물품을 조달했을까? 이런 식이면 지난해 특전사 등이 조달한 소총과 실탄도 계엄용이라고 주장할 텐가?”라고 따져 물었다.
제3노조는 “이 내용은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만들어 준 자료로 확인됐다. 우리 노조는 이런 이유 등을 들어 이 보도가 민주당 등 탄핵 찬성 세력과 MBC가 공조해 만들어 낸 선동용 보도라고 의심한다”면서 “특히 노상원 전 사령관 개인의 망상이 담긴 노트의 내용을 들이대고, 종이 관 등의 구체적인 시간과 수치와 지명 등을 제시하며 마치 군이 계엄용 민간인 사살을 준비한 것처럼 몰아간 것은 전형적인 음모론 제작 수법이다. 지난 서울시장 선거 당시 나온 생태탕 논란 등에서도 나타난 구체성을 가장한 음모론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MBC는 앞서 지난 1월에는 PD수첩에서 ‘계엄이 실행됐으면 어떤 일들이 벌어졌을까?’라는 가상의 시사물을 만들기도 했다”며 “컴퓨터 그래픽과 AI(인공지능)를 활용해 군인들이 국회의원을 체포해 벙커로 연행해 심문하는 장면 등을 묘사하고, 선관위 직원이 거짓 자술서를 쓰는 장면 등을 보여주기도 했다. 시사 보도를 상상의 차원으로 변질시킨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3노조는 “이제 헌법재판소 판결을 앞두고 뉴스데스크의 선동이 극에 달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던 중이었는데 역시나 였다”며 “우리는 지난 2022년 대선 이틀 전에 뉴스데스크가 ‘대장동 사건의 몸통은 윤석열’이란 민주당 주장을 뒷받침하는 김만배-신학림 녹취록을 검증도 없이 보도한 일을 똑똑히 기억한다. 정치적 사안을 앞두고 물불 안 가리고 민주당 편에 서는 정파성의 못된 습성이 또다시 재연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보도본부장과 뉴스룸 국장 등 보도 수뇌부에 경고한다. 대한민국 주권의 결정판이라 할 수 있는 대통령의 명운이 걸린 시점에 정치적 목적이 다분한 선동 보도를 당장 중단하라.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