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장미란 기자]미국 고용지표 개선으로 한 숨을 돌린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특히 전날 낙폭이 컸던 엔비디아 등 반도체주가 반등하며 상승을 이끌었다.
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83.04포인트(1.76%) 오른 3만9446.49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119.81포인트(2.30%) 상승한 5319.31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64.22포인트(2.87%) 뛴 1만6660.02로 거래를 마쳤다.
특히 S&P 500지수는 2022년 11월 이후 최대 일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뉴욕증시의 상승세는 이날 발표된 고용지표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7월 28일∼8월 3일) 신규 실업보험 청구 건수는 23만 3000건으로 전문가 예상치(24만 1000건)을 크게 밑돌았다. 직전 주 수정치(25만 건)와 비교해도 1만 7000건이 줄어 1년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
이에 지난 2일 고용 보고서 발표 이후 급속히 확산했던 노동시장 냉각 우려는 일부 완화되는 모습이다.
앞서 뉴욕증시는 이달 초 나온 고용지표의 충격으로 지난 5일 3대 지수 모두 급락세를 보이며 ‘최악의 하루’를 보낸 바 있다.
비농업고용지수는 시장의 예상을 크게 하회했고, 침체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는 실업률은 4.3%로 상승하며 3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
‘실업률 3개월 평균이 이전 12개월의 최저치보다 0.5%포인트 이상 높으면 침체에 진입한다’고 보는 ‘삼의 법칙’은 0.53%포인트를 기록하며 증시를 ‘R(경기침체)의 공포’로 이끌었다.
실업지표 개선으로 경제 낙관론이 회복된 가운데 반도체, 빅테크, 은행 등 경기 민감주들이 상승을 견인했다.
종목별로는 전날 5% 이상 폭락했던 엔비디아가 6.13% 반등하고, 브로드컴(6.95%)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6.07%)가 6% 안팎의 상승률을 보이면서 반도체주 상승을 주도했다.
반도체 관련 종목으로 구성된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도 6.86% 급등 마감했다.
테슬라는 특별한 재료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 우려 완화 속 3.69% 상승했다. 리비안(+6.78%), 니콜라(+6.41%) 등 주요 전기차 기업들도 일제히 랠리 마감했다.
더퍼블릭 / 장미란 기자 pressmr@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