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이현정 기자] 지난 13일(현지시각)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북·러 정상회담을 두고 크렘린궁은 “공개하면 안 되는 민감한 영역에서 협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북한이 러시아의 부족한 탄약고를 채워주는 대신 러시아는 북한에 기술·식량·에너지를 제공하는 거래에 합의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침공 초기에 하루 최대 10만 발의 탄약과 포탄을 소모했는데, 전쟁이 2년 차에 접어들어 장기화되면서 현재 재래식 무기는 거의 바닥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전쟁으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고립된 러시아에 탄약·무기를 공급할 수 있는 ‘조달처’ 역할은 사실상 북한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이 가운데 북한은 현재 최소 100만톤 이상의 탄약을 비축 중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옛 소련에서 기술·장비를 이전받아 생산한 것이 대부분으로 러시아제 무기와 호환이 가능하다고 한다.
앞서 지난 7월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 일행이 평양을 방문했을 당시 북한의 무장 장비 전시 현장을 둘러보며 무기를 소개한 바 있다. 당시 남성욱 고려대 통일융합연구원장은 “모든 행보가 러시아를 향한 무기 호객 행위였던 셈”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러시아는 “북한의 위성 개발을 도울 것”이라고 하면서 북한이 공을 들이고 있는 정찰위성과 관련해 러시아가 기술 제공을 할 것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이번 회담 이후 김정은은 이번 회담에 대해 “양국 관계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의) 이번 러시아 방문이 우호적 분위기 속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또 이번 회담에서는 북한 노동자 송출 확대 문제도 거론됐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는 현재 노동력이 심각할 정도로 부족한 상황인데 북한은 최근 국경을 개방하기 시작해 외화 벌이를 위해 러시아 극동 지방으로 인력을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코로나 직전까지 북한 인구 수만 명에 대한 노동 허가증을 발급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한편 북한이 러시아에 대포(artillery)관련 무기를 보내기 시작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미국 CBS뉴스는 5일(현지시간) 익명의 미국 정부 관리자를 인용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는데, 최근 미국이 이란에서 압수한 탄약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상황에서 북한도 러시아에 무기 공급을 시작했다는 내용이다.
CBS뉴스는 13일 열린 북·러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푸틴 대통령과 군사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주부터 본격적으로 양국이 협력 형태를 갖춰가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보도에 따르면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공급하고 대가로 무엇을 얻을지는 아직 불분명하다고 전해졌으며, 북한 측의 정확한 요구사항도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 또 이번 무기 공급이 강기 공급망 차원인지 제한적인 규모의 선적인지도 분명하지 않다고 보도됐다.
더퍼블릭 / 이현정 기자 chuki918@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