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사위원장 ‘폭주’ 논란 확산…내년 경기도지사 출마 노림수?

추미애 법사위원장 ‘폭주’ 논란 확산…내년 경기도지사 출마 노림수?

  • 기자명 김종연 기자
  • 입력 2025.09.29 18:51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관련 검찰개혁 입법청문회에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소속 추미애 위원장의 질서유지권 발동에 항의하고 있다. 추 위원장은 "정치공작, 가짜뉴스 공장, 민주당!"이라고 적힌 피켓에 대한 철거요청을 거부하며 의사진행을 방해했다며 나 의원 퇴장 조치 등 질서유지권을 발동했다. 2025.9.22. /사진 = 연합뉴스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건진법사 관봉권 띠지' 분실 관련 검찰개혁 입법청문회에서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이 더불어민주당 소속 추미애 위원장의 질서유지권 발동에 항의하고 있다. 추 위원장은 "정치공작, 가짜뉴스 공장, 민주당!"이라고 적힌 피켓에 대한 철거요청을 거부하며 의사진행을 방해했다며 나 의원 퇴장 조치 등 질서유지권을 발동했다. 2025.9.22. /사진 = 연합뉴스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의 법사위 운영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야당은 “추 위원장이 의회 민주주의를 무너뜨리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했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무리한 독주”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추 위원장의 최근 행보가 내년 6월 지방선거 경기도지사 출마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니냐는 소문을 근거로 보고 있다.

추 위원장은 지난 16일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이 추천한 나경원 의원의 간사 선임안을 부결시켰다. 국민의힘은 여당 몫 법사위원장에 맞서 5선 중진인 나 의원을 야당 간사로 내정했지만, 추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22일 열린 회의에서는 더 강경한 모습을 보였다. 야당 의원들이 노트북에 ‘정치 공작, 가짜뉴스 공장 민주당’이라는 문구가 붙은 유인물을 내걸자, 추 위원장은 나 의원과 송석준·조배숙 의원을 회의장에서 퇴장시켰다. 야당 측의 의사진행발언 요구도 모두 거부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추 위원장이 법사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며 강력 반발했다.

회의 과정에서의 발언도 논란을 키웠다. 나 의원이 항의하자 추 위원장은 “이렇게 하는 게 윤석열 오빠에게 무슨 도움이 되느냐”고 맞받았다. 국민의힘 여성 의원들은 “성차별적 발언”이라며 즉각 사퇴를 요구했고, 법사위는 그야말로 파행으로 치달았다. 이 때문에 나 의원의 몸집을 추 의원이 키워준다는 얘기도 나온다.

비판은 야당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추 위원장의 강경 행보에 대한 우려가 잇따른다. ‘원조 친명(親明)’으로 분류되는 김영진 의원은 “추-윤석열, 추-한동훈에 이어 세 번째 전쟁이 될 수 있다”며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근거로 청문회를 여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특히 최근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를 두고도 “이재명 대통령 재판 개입을 위한 ‘4인 회동설’이라는 확인되지 않은 의혹을 앞세워 청문회를 강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강행했다. 지도부와 충분히 상의하지 않은 일방통행식 운영이 오히려 여당의 부담을 키우고 있다는 것.

추 의원이 폭주를 하고 있는 건 내년 6월 지방선거 출마설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민주당 내의 강성지지층을 결집시키기 위한 수순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현직인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주당 소속인 만큼 경선은 불가피하다. 김 지사와 각을 세우면 오히려 마이너스 요인이 될 가능성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추 위원장의 정치적 궤적을 보면, 이번 폭주성 행동의 원인도 예측해볼 수 있다. 그는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에 찬성하며 ‘자당 내 야당’으로 불렸다. 당시 스스로 “노 대통령 탄핵 사유만 줄이고 줄여도 책 한 권 분량”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법무부 장관을 지냈을 때는 자신을 임명한 문 전 대통령을 향해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며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의 갈등 국면에서 문 전 대통령이 자신에게 물러나라고 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고, 이를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의 강성 지지층으로부터는 호응을 얻었다.

2024년 총선을 앞두고는 문 전 대통령 책임론까지 거론하며 발언 수위를 높였다. 그는 곽상언 의원의 발언을 빌려 “결국 대통령이 결과를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을 키웠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