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은 화재가 발생한 '무정전·전원 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가 지난해 정기검사에서 정상 판정을 받았으나, 사용연한 10년이 지나 교체 권고를 받은 바 있다고 29일 설명했다.
국정자원은 이날 행정안전부를 통한 질의 답변에서 "(발화한) 배터리는 2024년, 2025년 정기 검사결과에서 모두 정상판정을 받았다. 다만, 2024년 6월 정상판정을 받으며 교체 권고를 받은 게 맞다"며, 교체 권고 사유는 사용연한 10년이 지난 데 따른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국정자원은 "정기 검사결과에서 이상이 없어서 (배터리를) 지속해 사용했다"고 전했다.
국정자원의 이 같은 입장은 노후 배터리의 교체 권고를 받고도 문제가 없어 그대로 사용했다는 취지로 받아들여진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당국의 화재 원인조사 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국정자원은 당시 배터리 이전 작업이 아닌 교체 작업을 하다가 화재가 발생했다는 일각의 보도 등에 대해서는 "(당시 작업은) 배터리를 교체한 것이 아니라 (서버 등) 시스템과 이격을 위해 지하로 이동 작업 중이었다"고 부연했다.
지난 26일 국정자원 대전본원 5층 7-1 전산실에 있던 UPS용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해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647개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초유의 국가전산망 마비사태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권익위원회 국민신문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터넷우체국 ▶보건복지부 복지로·사회서비스포털 ▶행정안전부 정부24·국민비서·모바일 신분증·정보공개시스템·온나라문서·안전신문고·안전디딤돌 ▶조달청 나라장터·종합쇼핑몰 등 정부 전산시스템이 마비 상태에 놓였다.
중대본은 전산시스템 647개가 순차적으로 재가동되면서 복구 서비스가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지만, 주요 정보시스템 96개가 전소된 전산실 내 있었고 대구센터로 이전해 재가동까지는 약 2주간의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이롱ㅣㄴ해 전체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상황.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