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과 대화하는 김현지 총무비서관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9/277993_278809_306.jpg)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측근으로 불리는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부를지를 두고 여야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여당 내부에서도 “국민에 대한 도리”라며 출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국회 운영위원회는 24일 전체회의에서 대통령실 국감 증인 명단을 논의했지만, 예산과 인사를 총괄하는 김 비서관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민주당 간사인 문진석 의원은 “정쟁으로 삼으려는 국민의힘 의도에 동조할 수 없다”고 했고, 박상혁 의원은 “강훈식 비서실장이 답변하면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에 국민의힘은 강하게 반발했다. 운영위 간사인 유상범 의원은 “김 비서관은 절대 불러서는 안 되는 존엄한 존재냐”며 “1992년 이후 총무비서관이 국감 증인에서 제외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은혜 의원도 “민주당이 막으면 막을수록 ‘김현지가 진짜 실세구나’라는 걸 입증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페이스북에 “민주당은 대법원장, 대법관은 막 부르면서 총무비서관은 못 부르게 막고 있다”며 “정청래식으로 김현지씨는 ‘뭐’ 되나”라고 비꼬았다.
국민의힘 지도부도 가세했다. 최은석 원내수석대변인은 25일 논평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아끼는 심복 앞에서 고개 숙이는 민주당의 모습이 애처롭다”며 “정진상, 김용을 넘어서는 최측근의 위세에 눌려 국감 의무마저 외면한다”고 했다.
이충형 대변인도 “김 비서관은 ‘만사현통’이라 불릴 정도로 권력의 심장부에 있다”며 “문고리 권력을 지키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이견이 제기됐다. 친명계 중진 김영진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총무비서관은 당연히 국감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 국민에 대한 도리이고 국민주권 정부가 지켜야 할 원칙”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 때도 총무비서관은 늘 국감 대상이었다”며 “공직자는 국민 대표 앞에 나와 입장을 밝히는 게 상식”이라고 했다.
논란이 커지자 김병기 운영위원장(민주당 원내대표)은 “간사 간 추가 협의가 필요하다”며 표결을 미뤘다. 대통령실 국정감사는 내달 6일 열릴 예정이다.
더퍼블릭 / 오두환 기자 actsoh@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