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한국 주가 지수가 9월 들어 주요 국가의 지수 40개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이달 1∼15일 코스닥 지수의 수익률은 7.00%, 코스피 수익률은 6.95%를 기록하며 미국과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의 대표 주가 지수 40개 중 1, 2위를 차지했다.
코스피는 지난 2일~16일까지 11거래일 연속 상승했으며, 지난 15일에는 3400선을 돌파, 다음날 장중 3450선을 넘는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신고점을 경신하며 상승세를 보이는데는 외국인 투자자의 폭발적인 매수세 덕분이다. 이달 들어 지난 16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6조6281억 원, 코스닥 시장에서는 874억 원 각각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개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는 9조2613억 원, 코스닥 시장에서는 1674억 원 순매도했다.
증권가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 금리 인하 기대감에 전 세계적으로 유동성 장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은 국내 정책 기대감까지 더해지며 지수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주식 양도세 부과 대상 대주주 기준을 기존 50억 원으로 유지하기로 한 것과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담긴 3차 상법 개정안이 논의되면서 주식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이다.
증권 전문가들은 정부 정책 드라이브에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에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미국 기준금리 인하 방향성에 따른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언급했다.
최재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기업들의 실적 전망 하향 조정이 잦아들고, 소폭 반등을 모색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또한 캘린더 효과를 반영한 선행 12개월 실적 전망은 연말까지 약 5%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재의 밸류에이션(가치평가) 멀티플(배수) 유지 시 펀더멘털 개선에 기반한 상승 모멘텀(동력) 지속 가능성이 더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달러 약세, 저유가, 저금리 현상에 배당 분리 과세 등 국내 정책이 한국 증시를 더 높은 곳으로 이끌 것"이라며 "향후 증시 약세장(-20% 내외)을 만들 이슈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으로, 내년 하반기쯤을 그 시기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