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자장사' 압박…은행권, '차주 금리부담 경감' 경쟁 돌입 "수익 저하 불가피"

정부 '이자장사' 압박…은행권, '차주 금리부담 경감' 경쟁 돌입 "수익 저하 불가피"

  • 기자명 안은혜 기자
  • 입력 2025.09.09 18:43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권 "금융 정책 이해하지만, 당분간 수익성 개선 어려울 듯"

은행 대출창구에 금리인하요구권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은행 대출창구에 금리인하요구권 안내문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더퍼블릭=안은혜 기자]은행권이 정부의 생산적 금융 정책에 수익성 저하를 겪고 있는 가운데 '가계대출 총량 규제'에 발맞춰 차주의 금리부담 경감 방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당국의 '이자장사' 압박 속 예대금리차 확대를 지적하자 은행들은 금리인하요구권 경쟁이 불붙기도 했다. 금리인하요구권은 금융소비자의 신용 상태가 개선될 경우 은행에 금리 인하를 요청할 수 있는 제도다.

신한은행은 올 상반기 금리인하요구권 수용을 통한 차주 이자 감면액이 5대 시중은행 중 1위(72억 원)란 점을 강조했다. KB국민은행은 신용점수가 오른 고객에게 금리인하요구권을 안내하는 등 접근성을 높였다.

우리은행은 요구 수용률 최하위권임에도 이자감면액 기준 5대 은행 중 2위다. 

은행권은 중도상환수수료 인하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 하나은행은 서민대출 상품인 '새희망홀씨대출'의 연간 금리를 0.8%~1.0%포인트 인하했다. 

인터넷전문은행 가운데 실수요자의 이자 부담을 덜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이달부터 가계대출 금리 인하를 단행한 곳도 있다. 

카카오뱅크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신용대출, 전월세보증금대출 등 가계대출 금리를 최대 0.3%P 낮췄다. 케이뱅크도 같은 날 아파트담보대출과 전월세보증금대출 금리를 최대 0.33%P씩 인하했다. 

주요 시중은행들은 가계대출 금리를 쉽사리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뱅킹과 달리 여신 규모 차이가 커 금리를 내리면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금융 당국 눈치를 봐야하니 수익성 저하는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책 목표는 이해하지만 단순히 은행에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은 지속 가능하지 않다"며 "시장과 통화정책 구조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책적으로 금리를 내릴 여력이 부족한 상태에서 은행권만 압박하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의지는 굉장히 강하고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데다 각종 상생금융 정책으로 은행의 수익성 개선은 당분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