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홍찬영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자국의 종합 반도체 기업인 인텔의 지분 인수를 추진 중이란 외신보도가 14일(현지 시각/블룸버그) 나왔다. 블룸버그는 이날 “트럼프 행정부가 경영난을 겪는 인텔 지분을 인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물론 보도에서는 구체적인 지분 매각 비율은 알려지지 않는다. 지분 인수 협상은 지난 11일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처음 논의된 것으로 전해진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동 직후 “탄 CEO가 다음 주 내게 제안을 가져올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인텔은 “미국의 기술과 제조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노력을 지원하는 데 매우 전념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는 첨단 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패권을 되찾겠다는 포부와 함께, 이를위해 보조금 지급을 넘어 지분 인수를 통해 경영에도 개입하겠다는 의도로 비춰지는 대목이다. 쉽게말해 반도체 사업 부활을 위해 미국 정부가 적극 시장에 개입하는 모습이라는 것이다.
인텔은 미국정부에게 지분 매각한 자금 일부를 오하이오주에 건설 중인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공장 건설에 투입할 계획이다. 당초 2022년 착공해 올해 가동이 목표였는데 경영난으로 여러 차례 지연됐고, 2030년으로 완공 시점이 늦춰졌다.
인텔 지분 인수 추진, 희토류 업체 지분 투자 등 최근 트럼프 정부가 사기업 경영에 직접 개입하면서 시장을 흔드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이에 외신들은 그동안 시장 자율을 전통으로 여겨온 미국의 산업 정책이 국가 안보 관련 산업에 대해서는 직접 개입방식도 마다하지 않는 모습으로 변모중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는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인수에 나선 이유가 국가 안보와 직결된 전략 자산인 반도체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미국 우선주의’ 일환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대만 반도체 회사 TSMC나 삼성전자가 미국에 수백억 달러를 투자해 대규모 파운드리 공장을 짓지만, 이들은 결국 외국 기업이고 궁극적으로 이에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기업 중심으로 반도체 공급망을 짜야할 필요성을 느낀 것으로 해석된다.
미 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에 업계에서는 미 정부가 위기에 빠진 인텔 구하기에 직접 나선다면 미국 빅테크 상당수가 반도체 물량을 몰아줄 가능성이 있어 국내 반도체 업계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제기된다.
더퍼블릭 / 홍찬영 기자 chanyeong841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