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8/272816_273471_2029.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정부의 6·27 대출 규제 강화 조치가 주택 분양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난 8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기준선(100)을 크게 밑돈 75.1로 전월(97.0) 대비 21.9p 급락했다.
특히 수도권 냉각이 두드러졌다. 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113.9에서 81.4로 32.5p 폭락했다. △서울 121.2→88.6 △경기 112.1→78.8 △인천 108.3→76.9로 모든 지역에서 30p 이상 하락했다. 주산원은 "대출 한도 축소와 추가 규제 우려로 매수 심리가 얼어붙으면서 7월 수도권 매매 거래량이 급감하고 가격 상승세도 둔화됐다"고 분석했다.
비수도권 시장도 위축됐다. 8월 비수도권 분양전망지수는 93.4에서 73.7로 19.7p 하락했다. 주산원은 "수도권 규제 여파와 추가 규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지방 시장까지 확산됐다"고 진단했다.
이에 건설업계는 분양 전략을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 직방은 "고분양가 단지나 자금 부담이 큰 물량은 청약 경쟁률 하락이 불가피하다"며 "건설사들이 분양 일정을 연기하거나 물량을 축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8월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2만 5699가구(일반 분양 1만 8925가구)다. 이 가운데 수도권은 경기 1만 3245가구, 인천 2434가구, 서울 1865가구다. 비수도권 예정 물량은 부산 2776가구, 충남 1222가구, 강원 1145가구, 울산 1132가구 순이다.
다만 실제 공급 여건은 더 열악하다. 부동산R114는 "지방은 미분양 적체가 지속되고 수요 회복도 더딘 상황"이라며 "건설사들이 사업성이 검증된 단지 위주로 선별 공급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름 비수기와 규제 강화가 맞물리며 분양 일정 조정도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R114는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유지되겠지만, 휴가철과 겹쳐 청약 열기가 식을 수 있다"며 "분양 시기를 재조정하는 단지가 늘어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규제 역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주산원은 "규제에 따른 사업자들의 부정적 전망이 공급 위축으로 이어질 경우, 중장기적으로 주택 가격 상승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요 억제를 목표로 한 정책이 오히려 공급 부족을 초래해 가격 불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이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