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 금융당국이 지난달 발표한 6·27 대출 규제에 따라 하반기 중금리 대출 감소세가 커질 전망이다. 대출 축소로 인해 서민금융 위축이 우려된다.
23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저축은행의 민간 중금리 대출(사잇돌대출 제외) 취급액은 2조5151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 분기(2조6576억 원) 대비 5.3% 감소한 수치다.
중금리 대출 취급액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SBI저축은행으로, 전체 중금리 대출 취급액의 3분의 1 가량인 8172억2300만 원이다.
SBI저축은행을 제외한 JT친애저축은행(806억4500만원), 애큐온저축은행(276억5900만 원), 웰컴저축은행(211억8000만 원), IBK저축은행(166억7700만 원), 키움저축은행(164억5800만 원), OK저축은행(162억8400만 원), 신한저축은행(143억6600만 원) 등은 중금리 대출 규모가 줄었다.
특히 다올저축은행은 중금리 대출 취금액이 1분기 2234억3800만 원에서 2분기 1305억7300만 원으로 급감했다.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 취급 감소는 서민 금융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민간 중금리 대출은 시중은행보다는 높은 금리가 적용되지만, 급전이 필요한 중·저신용자들에겐 유일한 대출 창구이기 때문이다.
올해 하반기 저축은행의 중금리 대출 금리 상한은 상반기보다 0.63%포인트 하락한 16.51%이다. 중금리 대출 금리 상한은 금융위원회가 반기마다 조정한다.
6·27 대출규제에 따라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역시 가계대출 공급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신용대출 한도도 기존 '연소득의 2배'에서 '연소득 이내'로 제한됐다. 이에 따라 하반기 중금리 대출 감소세는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다중채무자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 고객 특성상 고연봉자조차 대출이 막히는 경우도 많다"며 "중금리 대출 감소에 피해는 서민들이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저축은행중앙회는 계속되는 업황 악화와 가계대출 억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신사업 발굴과 PF(프로젝트파이낸싱) 채권 해소 등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 측은 업계 부실을 정리하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강구하는 동시, 문제가 될 수 있는 우회대출 등을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