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 한국금융지주가 지주회사 출범 20주년을 맞아 몸집 불리기에 나선 가운데, 주력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올해만 세차례 금감원 제재를 받는 등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금융지주는 금융투자와 자산운용을 넘어 저축은행, 사모펀드(PEF), 여신전문업, 헤지펀드 운용 등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종합 금융그룹이다.
한국금융지주의 시초는 1968년 세워진 한신증권(현 한국투자증권)이다. 1982년 동원그룹이 한신증권을 인수한 뒤 1992년 동원증권으로 이름을 바꿨고, 1996년 동원창업투자(현 한국투자파트너스)를 설립했다.
같은 해 고려상호신용금고(현 한국투자저축은행)과 동원투신운용(현 한국투자신탁운용)을 각각 인수해 저축은행과 자산운용사로 사업 영역을 넓혔다.
동원그룹이 2003년 계열분리를 시작해 그해 5월 동원금융지주가 출범했다. 2004년 동원증권 대표이사에 오른 김남구 회장은 이듬해인 2005년 2월 한국투자증권과 한국투자신탁운용을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인수한뒤 그 해 6월 합병하면서 동원금융지주도 한국투자금융지주로 이름을 바꿨다.
동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합병은 지금까지도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인수합병(M&A) 사례로 꼽힌다. 김남구 회장은 9년 간 지주 부회장을 지내다 2020년 회장으로 승진했다.
한국금융지주는 사업 확장을 위해 저축은행 인수 시장에서 여러번 M&A 실패를 겪었다. 증권시장에서도 대형 증권사 인수전에 도전했지만 고배를 마셔야 했다.
대신 금융투자업 관련 계열사는 꾸준히 늘려갔다.
2006년 한국밸류자산운용(현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2010년 이큐파트너스(현 한국투자프라이빗에쿼티), 2014년 한국투자캐피탈이 각각 설립됐다.
그 뒤 2019년 한국투자부동산(현 한국투자부동산신탁), 2021년 한국투자액셀러레이터, 2022년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만들어졌다. 주요 수익원인 증권 및 자산운용과 관련성 높은 사모펀드(PE), 부동산신탁, 벤처캐피탈(VC) 등으로 사업 확장을 이어왔다.

최근에는 보험 계열사 인수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한국금융지주의 주력 자회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최근 펀드 투자금 관련 금감원으로부터 잇달아 제재를 받고 있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11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모펀드 판매 과정에서 문제가 드러나 11억 원이 넘는 과징금 및 과태료와 함께 '기관주의' 처분을 받았다.
올해 상반기에만 금감원으로부터 '기관경고', '기관주의'와 과태료 등 3차례 제재를 받았다.
이뿐만 아니라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3월 한국금융지주와 함께 2019년~2023년 사업보고서를 정정 공시한 것과 관련, 내부 회계 오류로 매출이 약 5조 7000억 원가량 부풀려져 금감원 조사를 받고 있다.
회사측은 회계 기준상 포함하지 않는 회사 내 부서 간 거래 외환 손익을 재무 회계에 포함해 영업수익과 영업비용을 과다계상했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2019년 6월 출시한 벨기에펀드가 불완전판매됐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금감원은 최근 투자 피해자들의 민원을 바탕으로 조사에 착수한 상태다.
회사 관계자는 "새로운 내용은 없고, 금융당국과 소통하며 처리하고 있다"며 "(금감원 제재 관련) 추가적인 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국내 증권 업계 최초로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모두 1조 원을 돌파했다. 주력 자회사가 금융당국의 조사와 중징계를 받고 있어 지주사의 사업 확장 전략에 걸림돌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타 금융지주사의 경우 사업 확장을 위한 M&A 과정에서 전직 회장의 친인척 부당대출 스캔들이 드러나 곤란을 겪기도 했다.
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현행 금융지주회사 감독 규정은 자회사 편입 심사의 기준으로 경영실태 평가를 중점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금감원 조사 결과에 따라 한국금융지주도 M&A 등 사업 확장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