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 해외 주요 투자은행(IB)이 최근 한국의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잇달아 상향 조정하고 있다. 새 정부의 대규모 추가경정예산 편성 가능성 및 미-중 간 무역 갈등 완화 등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된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16일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7%에서 1.1%로 0.4%포인트 높였다.
보고서는 미국의 관세 리스크 완화와 미국·중국의 성장 전망 상향, 한국의 재정 부양 가능성 등을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중국 수출이 5% 회복될 경우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이 약 1.6%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이는 올해 성장률을 0.1%p 높이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또한 GDP의 0.5% 규모(약 13조8000억 원)로 편성된 1차 추경에 이어 2차 추경이 GDP의 최소 1% 규모로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바클리도 지난달 30일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9%에서 1.0%로 0.1%p 높였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1.4%에서 1.7%로 상향 조정했다.
바클리 역시 대선 전 상황에서 재정정책 효과를 언급하며 "누가 당선되든 확장 재정이 공통적인 핵심 기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모건스탠리도 지난달 22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0%에서 1.1%로, 내년 전망치를 1.4%에서 1.5%로 각각 높였다.
한국은행 역시 우리 경제 상황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관세 영향이 약화할 가능성이 있고, 새 정부의 재정 정책 효과도 봐야 한다"고 말했다.
부문별로는 "민간 소비는 올해 1분기 바닥을 치고 완만하게 올라갈 것"이라며 "건설 경기는 올해 하반기 저점을 찍으면서 올라가지 않겠나"라고 했다.
다만 전반적으로는 우리 경제의 전례 없는 저성장을 경고하는 시각이 여전히 지배적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기획재정부는 2차 추경과 세법개정안,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에 대한 내부검토 작업에 착수했다.
통상적으로 6월말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 이어 7월 세법개정안 등을 준비하는 일정이지만, 조기대선과 2차 추경 작업으로 준비 일정이 원점에서 다시 검토되는 분위기다.
새 정부는 먼저 최소 20조 원으로 예상되는 2차 추가경정예산으로 내수에 긴급 수혈을 하고, 중기적으로는 제도 혁신으로 기업 활동을 뒷받침할 전망이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