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6.3 대선을 앞두고 지지 후보를 정하는 문제로 내홍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21일 프레시안 보도에 따르면 민주노총의 경우 진보 정당 후보를 지지하는 정치 방침을 두고 있음에도 양경수 위원장을 비롯한 임원 일부가 '더불어민주당 지지' 안을 고수하면서 갈등이 불거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조직 일각에서는 양 위원장 등이 진보당 당원 출신이라는 점에서, 집행부가 특정 정당의 방침을 민주노총으로 끌고 와 독자적 의사결정을 방해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민주노총 중앙집행위원회는 지난 20일 회의를 열고 6.3 대선 방침을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지 못한 채 회의를 마쳤다. 대선 후보 방침으로 ‘진보정당 후보를 지지한다’는 안이 제출됐으나, 집행부를 비롯한 일부 임원들이 민주당 지지 안을 고수하면서 입창 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매체에 따르면 민주노총은 지난 2023년 77차 대의원대회를 통해 ‘진보정당을 포함한 진보 정치 세력들과 결집한 힘을 만들어 노동자 정치 세력화를 추진한다’는 정치 방침을 확정했다. 하위규칙인 선거 방침은 정치 방침의 테두리 내에서 결정된다. 즉 진보정당 후보 지지가 선거 방침의 골자다.
하지만 양경수 집행부의 민주당 지지안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보수정당지지’ 문구를 넣는 안이었기 때문이다. 집행부는 지지 대상에 진보정당 후보뿐 아니라 ‘진보정당과 연대연합을 실현한 후보’ 문구를 함께 넣는 안을 추진했다. ‘진보정당과 연대연합을 실현한 후보’라는 것은 결국 김재연 진보당 상임대표가 지난 9일 이재명 민주당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면서 이 후보가 뜻하게 됐다.
특히 ‘진보정당과 연대연합을 실현한 후보를 지지한다’는 부분에서 갈등이 빚어졌는데, 이번 방침이 통과되면 진보당 김재연 후보가 사퇴하면서 지지를 표명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일부 위원이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진보정당 후보인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를 지지하는 것 역시 일부 위원들은 권 후보만 지지할 것을 주장하고, 다른 일부 위원들은 권 후보와 함께 김 후보가 지지를 표명한 이 후보도 지지할 것을 주장해 결국 결론 내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민주노총은 지난 1일 △노동기본권 △사회공공성 △사회대개혁 등 3대 의제에 대한 16개 과제를 21대 대선 요구안으로 정했지만 이도 민주노총의 요구안에서 한 발 물러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매체 보도에 따르면 당시 집행부는 민주노총 역사상 처음으로 민주당과의 정책 협약도 준비하고 있었지만 민주당에 불편한 의제는 미리 뺏다는 비판이 나왔다. 결국 민주당과의 정책 협약은 지난 15일 열린 중집 회의에서 부결된 것으로 전했다.
이에 찬반 양론이 팽팽한 끝에, 집행부는 ‘내부 의견이 모이지 않으니 정책 협약은 하지 않겠다’고 결론내렸다. 그리고 5일 뒤 선거 방침 결정은 무산됐다. 다음 중앙집행위 회의는 대선 후에 열린다. 결국 민주노총은 대선 방침을 정하지 못하고 선거를 맞이하게 되는 셈이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21대 대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에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합류했다. 지난 20대 대선에서 상임선대위원장을 맡은 데 이어 또다시 총괄선대위원장으로 이름을 올린 것이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