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유수진 기자] 원달러 환율이 이틀 연속 1450원대를 유지한 1451.4원에 마감한 가운데(20일 기준), 한국경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21일 재계에 따르면, 원화 환율이 오르면 해외 원료 의존도가 높은 내수 기업들에는 치명타가 된다. 또 외화 부채가 많은 기업들은 달러로 빚을 갚아야 하기 때문에 채무 상환의 부담도 늘어난다.
게다가 수입 물가 상승은 결국 소비자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장기 침체의 내수 시장은 더 안 좋아질 가능성도 있다. 쉽게말해 수출경제에 의존하는 한국으로서는 고환율 시국이 쥐약일 수 밖에 없다는 것.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날 첫 고위당정협의회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대내외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면서 “경제에 대한 다운사이드(하방 위험성)가 커졌다. 비상 경제 대응 체제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상계엄’ 사태 전만 해도 ‘거시경제 지표상 실적은 좋은데 체감 경기가 나쁜 만큼, 자영업자와 취약 계층에 경기 회복 온기가 전달되게 하겠다’고 했던 입장을 뒤집은 것이다.
이 같은 위기감은 경제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하자마자 일주일 안에 각종 핵심 경제 정책을 쏟아낼 것으로 예상되는데, 현실적으로 우리는 대통령 권한대행 자격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수도 없고 특사도 보내기 어려운 상태”라고 털어놨다.
노무현, 박근혜 전 대통령 등 앞선 두 번의 탄핵 정국에선 각각 중국 특수와 반도체 호황으로 경제가 버틸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내수와 수출 동반 부진에 미국 새 행정부 출범의 불확실성까지 겹쳐 기댈 곳이 없는 상황이다. 산업계 곳곳에서 구조조정이 잇따르며 ‘IMF, 코로나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더퍼블릭 / 유수진 기자 sjn302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