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코로나 시절에는 배달이다 뭐다 해서 어찌어찌 버텼지만 지금은 여력이 더 없어졌어요”, “코로나 시절 보다 더 어려워졌습니다. 그때는 시중에 돈이라도 풀렸지만 지금은 아예 지갑을 닫고 사는 것 같아요”
코로나 시절 보다 자영업자들의 삶이 더욱 팍팍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영업자가 6개월 연속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사태 이후로는 처음이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자영업자는 572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만2000명 감소했다. 자영업자 감소세는 지난 2월부터 6개월째 이어지면서 코로나 당시 보다 더 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자영업자는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 3월부터 2021년 5월까지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인 이후 대체로 증가세를 지속했다. 그리고 이러한 자영업자 감소세는 나 홀로 사장님이 이끌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지난달 427만3000명으로 지난해 7월보다 11만명 급감하면서, 지난해 9월 이후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달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144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만8000명 늘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이처럼 지속해 줄어든 것은 영세 자영업자가 소비 부진, 인건비, 고금리 등으로 위기를 겪으며 폐업으로 몰리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 올해 상반기 폐업을 이유로 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지급된 노란우산 공제금은 7587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3.8% 늘었다. 지급 공제금은 지난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올해 더 증가했다.
노란우산은 소기업·소상공인 생활 안정과 노후 보장을 위한 공제 제도인데, 폐업 등을 이유로 대거 지급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향후 경기가 좋아질 기대치도 낮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8월 전망 경기지수(BSI)는 56.6으로 전달보다 1.3포인트 내려 5월부터 넉 달 연속 하락했다. 전통시장의 8월 전망 BSI도 45.0으로 2.6포인트 내려 넉 달 연속 떨어졌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