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지난달 국내 외환보유액이 13억 달러 증가해 4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에 따른 달러 약세와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 증가에 따른 결과다.
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7월 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7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135억 1000만 달러로 전월의 4122억 1000만 달러에 비해 13억 달러 증가했다. 4개월 간 이어진 감소세에서 증가 전환된 것이다.
분기말 효과가 사라져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은 줄어든 반면, 외화 외평채 신규 발행과 달러화 약세로 인한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증가한 영향이다.
지난달 말 달러화 지수는 104.55로, 6월 말 105.91보다 1.3% 하락했다. 같은 기간 유로화는 1.0%, 파운드화는 1.6%, 엔화는 5.1%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초에는 달러가 강세를 보였으나, 월말로 갈수록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이면서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외환보유액의 주요 구성 항목인 미국 국채, 정부 기관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은 3670억 5000만 달러로 전월의 3639억 8000만 달러보다 30억 7000만 달러 증가했다.
예치금은 20억 8000만 달러 감소한 223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SDR(특별인출권)은 3억 달러 증가한 149억 5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금은 47억 9000만 달러로 전월과 동일했다.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6월 말 기준 4122억 달러로, 주요국 중 11개월 연속 9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이 97억 달러 감소한 3조 2224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일본은 1억 달러 줄어든 1조 2315억 달러로 2위를, 스위스는 8838억 달러로 3위에 올랐다.
더퍼블릭 / 손세희 기자 sonsh82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