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405/223362_221938_1755.jpg)
[더퍼블릭=이유정 기자] 고물가·고금리로 소비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서도 신세계가 백화점 부문의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는 등 견고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백화점과 더불어 신세계까사, 신세계라이브쇼핑 등 주요 자회사들의 매출 확대도 호실적을 견인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신세계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63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2조8187억원으로 5.4% 상승했으며 순이익은 1296억원으로 0.8% 증가했다.
특히 경기 불황 속에서도 백화점 총매출(입점업체가 거둔 매출까지 포함한 수치)은 1조8000억원을 넘어 역대 최대였던 지난해 1분기(1조6695억원)기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백화점 사업의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9% 신장한 1조8014억원으로 잠정 집계됐으며, 영업이익은 1137억원으로 전년 동기(1103억원)보다 3.1% 증가했다. 이는 별도 법인인 광주·대구·대전 신세계백화점 실적을 모두 합산한 것이다.
솟은 물가·금리라는 어려운 조건에서 차별화된 콘텐츠를 꾸준히 선보이며 본업 경쟁력을 다진 결과라는 게 사측의 분석이다. 모바일 앱 재단장(1월)과 국내외 힙한 디저트를 엄선해 모은 강남점 스위트파크 개장(2월) 등 차별화된 콘텐츠가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1분기 백화점의 상품 장르별 매출을 살펴보면, 식품 매출이 12% 상승했다.
이 기세를 몰아 신세계백화점은 상반기 강남점 식품관과 타임스퀘어 패션관 등 재단장을 통한 공간 혁신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동시에 모바일 앱 활성화를 통한 온오프라인 시너지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구상이다.
자회사 실적도 개선됐다. 연결 자회사 신세계까사, 신세계라이브쇼핑 등은 외형 성장과 내실을 모두 챙기며 올해 연간 호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같은 기간 신세계까사의 매출액은 685억원으로 30.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0억원을 기록해 흑자 전환했다. 분기 흑자는 2년 만으로, 지난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수면 전문 브랜드 마테라소’ 베스트셀러 소파 캄포 등 상품에 힘입어 매출액이 전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또한, 데이터홈쇼핑 업체 신세계라이브쇼핑 역시 블루핏, 에디티드, 엘라코닉 등 패션 PB(자체브랜드)의 호조로 같은 기간 매출(782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16.7%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56억원으로 흑자로 돌아섰다.
다만 신세계디에프(면세점)의 매출액은 4867억원으로 지난해보다 4.8% 감소했다.
신세계센트럴시티는 영랑호 리조트 영업 양수 효과와 임대 수익의 증가로 매출액 889억원, 262억원을 기록해 각각 전년 대비 5.5%, 20.1% 상승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매출액은 3094억원으로 0.9%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이 112억원으로 8.7% 증가했다. 특히 코스메틱 사업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코스메틱부문은 올 1분기 매출 1043억원, 영업이익 65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더퍼블릭 / 이유정 기자 leelyjwo@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