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이번 주를 기점으로 본격적인 쇄신 행보에 신호탄을 쏘아 올릴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민정수석 부활을 토대로한 용산개편과 더불어, 기자들과의 기자회견도 예정돼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르면 7일 민정수석실 부활을 발표하며, 초대 민정수석으로는 김주현 전 법무부 차관이 내정된 것으로 전해진다.
윤 대통령이 쇄신의 방향은 국민과 소통에 역점을 둔 것이라 판단 가능하다. 4·10 총선을 거치면서 민심과 거리를 느꼈다고 판단한 만큼 모든 방법을 동원해 소통을 강화하고 그동안 국정 운영 부정평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불통' 이미지를 불식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사정기관이 된 민정수석 폐지를 약속했고, 취임 이후 이 약속을 실행했다. 그러나 취임 2년 만에 소통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지난달 29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회담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민정수석 부활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민정수석을 토대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반영해 국민의 형편을 살피는 민정 고유의 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며, 과거 논란이 된 민정수석의 사정(司正) 기능은 뺀다는 방침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민정수석이 부활한다면 사정 기능을 총괄했던 과거의 이미지가 다시 불거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대통령실은 새 민정수석 아래로 법률비서관실과 공직기강비서관실을 옮기고 추가로 민정비서관을 두는 방안도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지는 상황.
윤 대통령은 또 오는 9일에 취임 이후 두 번째 기자회견을 준비하고 있다. 2022년 8월 취임 100일 기자회견 이후 21개월 만에 기자회견이다. 기자회견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다. 윤 대통령은 오전 10시 집무실에서 영상을 통해 지난 2년 국정운영 기조와 앞으로 3년 국정운영 방향을 설명한 후, 기자회견장으로 이동해 질의응답을 중심으로 한 기자회견을 한다.
이번 기자회견에서는 주제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한다. 이에따라 정국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채상병 특검법 수용에 관한 입장과 윤 대통령의 부인인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의제들 역시 나오는게 가능하다.
특히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직접 "너무 뻔한 질문보다는 국민이 정말 궁금해할 질문으로 준비하자고 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윤 대통령의 솔직한 답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