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배소현 기자]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야당의 윤석열 정부를 향한 ‘검찰 편중 인사’ 지적에 “현 정부에서 임명한 공공기관 임원 중 검사나 검찰 일반직 출신은 1%도 안 된다”며 반박했다.
김 실장은 7일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비서실에 대한 국정 감사에서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말 그대로 윤석열 정부는 검찰이 100여 명 포진한, 검찰 카르텔 정부’라는 주장게 “저희 대통령실만 보더라도 수석(비서관) 이상급에 검사 출신은 한 명도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내각을 보더라도 총리, (그리고 대통령실에서) 비서실장, 국가안보실장 빅3 중 (검찰 출신은) 1명도 없다”며 “(대통령실에) 비서관 몇 명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실장은 “제가 한번 파악을 해봤다. 우리가 진짜 검찰이 많은지”라면서 “공공기관 임원 중 검사나 검찰 일반직 출신이 34명인데, 그중에서도 현 정부에서 임명한 건 18명”이라고 전했다. 나머지 16명가량은 문재인 정부 등에서 임명돼 자리를 유지하고 있단 설명이다.
그러면서 김 실장은 “전체적으로 보면 이런 검찰 인력은 1%도 안 된다. 문재인 정부랑 같더라는 말씀을 드린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또 박 의원의 ‘영남 편중 인사’ 지적에 대해서도 “지난 정부에서는 호남을 많이 쓰시지 않았나. 그러니까 지금 찾으려고 해도 안 계신다”며 “저도 공무원들 중에 기재부 후배들이나 좀 (비영남, 호남 출신 등을) 찾아보려 했는데 다 선거에 나간다고 잘 안 들어오신다”고 했다.
이에 박 의원이 “변명이 구구하다”라고 하자 김 실장은 “구구하다면 죄송한데, 전 그렇게 생각한다”고 맞받았다.
한편, 김 실장은 이날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김 실장은 “돈 풀어서 국민들에게 나눠주고 일자리도 재정 풀어서 만들면 얼마나 좋겠나. 선거에도 도움되고 여당 입장에서도 좋은데 그걸 안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우리가 빚이 너무 많다”고 규탄했다.
그는 “지금 우리가 이렇게 돈을 풀면 이 돈은 저희가 갚는 게 아니고 우리 MZ(2030)세대가 다 갚아야 한다. MZ세대를 위해서라도 빚 관리는 해야 한다”라며 “지금도 국가 빚이 1100조원을 돌파했다. 여기에 가계부채, 기업(부채)·국가(부채)를 다 합치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미국보다 20~30%가 높다”고 전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 / 배소현 기자 kei.05219@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