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고팍스가 통상 1년에 한 번 받는 위험평가를 9개월 만에 다시 받게 됐다.
23일 <이데일리>가 단독 보도한 바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고팍스에 위험평가를 다시 받으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이 고팍스에 대한 위험평가를 다시 진행하는 이유에 대해 글로벌 가상자산 사업자 바이낸스가 고팍스를 인수했기 때문에 변경신고 심사에 반영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통상 위험평가는 1년에 한 번씩 이뤄진다. 고팍스의 경우 작년 8월에 받았기 때문에 아직 시간이 남은 상황이나 9개월만에 위험평가를 다시 받게 됐다.
고팍스의 변경신고 심사는 예상보다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고팍스는 최대주주가 바이낸스로 바뀌고 등기임원에 변동이 생기면서 지난달 6일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변경 신고를 제출했다.
FIU는 변경신고 접수 후 45일 이내인 지난 19일까지 심사결과를 통지했어야 하는데, 서류 보완을 요청하며 심사 기간을 연장한 상태다.
변경신고 심사는 사실상 바뀐 임원들의 금융사기 범죄 이력만 검토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릴 이유가 없다. 이 때문에 심사가 지연되는 것이 ‘시간끌기’라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변경신고 심사가 지연되면서 애꿎은 고파이 이용자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고팍스는 글로벌 가상자산 운용사 ‘제네시스’의 상품을 중개해 고파이 서비스를 운영해왔는데, 제네시스가 파산하면서 고파이 이용자 자금도 묶였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고팍스 운영사 스트리미가 공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제네시스에 묶인 고객 가상자산은 약 566억원 상당이다.
바이낸스는 고팍스와 인수계약을 체결하면서 고파이 원금과 이자를 전액 상환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 실제로 둘의 계약이 체결된 직후 고파이 이용자 자금 일부가 지급되기도 했다.
더퍼블릭 / 신한나 기자 hannaunce@thepublic.kr
더퍼블릭 / 신한나 hannaunce@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