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코스피가 18일 4000선 아래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135.63포인트(3.32%) 하락한 3953.62에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44.78포인트(1.10%) 내린 4044.47에 개장한 코스피는 낙폭을 키우더니 4000선을 내줬다. 코스피가 4000선 밑에서 마감한 것은 지난 7일 이후 처음이다.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의 주간거래 종가는 7.3원 오른 1465.3원에 주간거래를 마쳤다.
미국발 ‘AI(인공지능) 버블 우려’ 악재가 재부각되고 연준의 금리 정책 변경 우려가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영향이다.
외국인·기관이 매도세로 돌아서고 시장에 피로감까지 더해져 지수 하방 압력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500억원, 6769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개인은 1조2433억원을 순매수했다.
간밤 뉴욕 증시는 3대 주가지수가 동반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필립 제퍼슨 연방준비제도(연준·Fed) 부의장이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천천히 진행(proceed slowly)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면서 연준이 내달 기준금리를 추가인하할 것이란 기대가 약화한 것이 시장 충격으로 이어졌다.
억만장자 투자자 피터 틸의 헤지펀드 틸 매크로가 지난 분기 9천400만 달러(약 1천375억원) 규모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도한 것이 가뜩이나 불안하던 AI 관련주와 대형 기술주 투자심리를 냉각시킨 것 또한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대부분 약세를 보였으며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는 2.78% 하락해 10만전자를 반납했다. SK하이닉스도 5.94% 내리면서 60만원선 아래로 떨어졌다.
그 외 SK스퀘어(-6.90%), 한화에어로스페이스(-5.92%), LG에너지솔루션(-4.32%), 두산에너빌리티(-4.31%), KB금융(-3.39%), 셀트리온(-3.21%), 현대차(-2.58%), 기아(-2.47%), 한화오션(-2.37%), 네이버(-2.35%)도 하락했다.
증권(-4.77%), 기계·장비(-4.53%), 전기·전자(-4.16%), 건설(-4.08%), 의료·정밀(-3.56%), 화학(-3.43%), 금융(-3.24%), 보험(-3.14%) 등의 업종에서 낙폭이 두드러졌다.
코스닥 지수도 전일 대비 23.97포인트(2.66%) 내린 878.7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3.05포인트(0.34%) 내린 899.62로 개장한 이후 장 초반 900선을 넘나들었지만, 이후 낙폭을 키우며 870선까지 밀렸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953억원, 1185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3847억원을 순매수하며 물량을 받아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4조451억원과 9조3509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과 정규마켓 거래대금은 7조643억원이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