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와 관계 없는 자료 사진 [사진=LG화학]](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11/283015_284376_3832.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실현할 경우, 국내 기업의 부도 위험이 현재보다 최대 2.15배 높아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발전·철강·시멘트·정유·석유화학 등 고탄소 배출 산업이 가장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다.
핀테크 기업 니플러스는 지난 9일 "15개 산업군 368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2050년 넷제로' 시나리오에서 부도 확률이 현행 에너지 정책을 유지했을 때보다 최대 2.15배 높았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은 각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초로, 폭염·홍수 등 물리적 리스크와 탄소세·배출권·기술 변화 같은 전환 리스크를 함께 반영해 산출됐다. 그 결과, 고탄소 배출 업종에서 부도 확률이 급격히 상승했다. 발전·철강·시멘트·제지·정유·석유화학·운송 등 업종은 부도 확률이 최대 3.2배로 늘었다.
반면 음식료·전자·유통·기계 장비·서비스 등 저탄소 산업은 상승 폭이 1.36배에 그쳤다. 다만 보고서는 "저탄소 산업이라도 고탄소 산업에서 원자재나 부품을 조달하는 경우, 탄소 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압박을 피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위험도가 더 컸다. 대기업은 부도 확률이 2.13배, 중소기업은 2.36배로 나타났다. 탄소 중립 전환 과정에서 필요한 설비 교체나 투자 여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리스크 유형별로는 전환 리스크의 영향이 더 크게 작용했다. 니플러스는 "태풍·홍수 등 물리적 리스크는 발생 시점이 불확실하지만, 탄소세·에너지 전환 비용은 정책 시행 즉시 수익성과 현금 흐름을 압박한다"고 설명했다. 즉, 정책 변화에 따른 비용이 곧바로 부도 위험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조기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 화학업체를 대상으로 한 시뮬레이션 결과, 현 상태에서 넷제로 정책이 시행되면 부도 위험이 4.6배로 높아졌지만, 온실가스 배출량을 30% 조기 감축하면 2.0배로 줄었다. 여기에 수익성 개선을 병행하면 1.3배까지 낮아졌다. "조기 감축과 재무 구조 개선이 기업 생존을 좌우하는 변수"라는 분석이다.
니플러스는 "탄소 집약도가 높고 재무 완충력이 약한 기업일수록 온실가스 과잉 배출을 줄이기 위한 선제적 구조 조정이 필요하다"며 "지속 가능한 경영 체계 구축이 부도 위험을 줄이는 핵심"이라고 밝혔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