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일본·미국 방문을 위해 23일 성남 서울공항청사를 나서며 윤호중 행안부 장관,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김병기 원내대표 등과 함께 공군 1호기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8/274060_274755_308.jpg)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25일)을 사흘 앞두고, 한국 외교·산업 수장이 워싱턴에 총출동하며 성과 확보를 위한 ‘올코트 프레싱(정방위적인 노력)’에 나섰다.
동시에 미국 전문가들은 “트럼프 특유의 돌발 발언과 즉흥적 스타일에 휘말리지 말라”는 조언을 쏟아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21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2일 각각 워싱턴을 찾아 미측 고위 인사들과 회담했다.
조 장관은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김 장관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도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협의를 진행했다.
특히 조 장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일본 방문 수행 일정을 건너뛰고 경유편을 이용해 급거 방미하면서 '한미정상회담 의제 조율을 위해서'라는 해석이 나왔다. 대통령실은 “갑작스러운 일이 아니라 긴밀한 협의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을 사흘 앞둔 2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외교부]](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8/274060_274754_2917.jpg)
이번 회담은 동맹 정상회담이지만, 양측이 원하는 의제는 곳곳에서 충돌 소지가 있다. 한국은 핵연료 재처리·우라늄 농축을 허용하는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에 관심이 크지만, 미국은 비확산 원칙을 들어 난색을 보여왔다.
방위비 분담금,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문제도 미묘한 입장차가 있다. 무역 현안 역시 지난달 3500억 달러 규모 투자펀드 합의 이후 추가 시장 개방과 비관세 장벽 완화 요구가 나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처럼 현안이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 미국 조야 전문가들은 ‘트럼프 변수’를 가장 큰 리스크로 꼽는다.
스콧 스나이더 KEI 소장은 “트럼프가 주한미군 숫자나 방위비 분담과 관련해 잘못된 수치를 말할 수 있다”며 “공개 석상에서 반박하기보다는 비공개 회동에서 참모들이 정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했다.
앨런 김 KEI 디렉터도 “트럼프 면전에서 사실 관계를 바로잡는 것은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에리우스 데어 KEI 디렉터는 “트럼프는 회담 직후 SNS에 합의와 상충되는 메시지를 올릴 수 있다”며 2017년 문재인 대통령과의 첫 회담 직후 FTA 재협상을 트위터에 통보한 사례를 언급했다.
실제로 트럼프는 지난달 한미 무역 합의 때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 소셜’을 통해 먼저 알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8/274060_274756_3044.jpg)
미 보수진영의 헤리티지재단은 “한미동맹은 정치 이념을 초월해 긍정적 상승 곡선을 그려왔다”며 방산·조선업 분야 협력 확대를 주문했다. 그러나 AEI의 잭 쿠퍼 연구원은 “이 대통령은 북한을 최우선으로 두지만, 트럼프는 중국을 최대 도전으로 본다”며 전략적 우선순위 차이를 지적했다.
웬디 커틀러 ASPI 부소장도 “아무리 잘 준비해도 트럼프와의 회담은 성격 변수 때문에 불확실성이 크다”고 말했다.
결국 한국 정부는 치열한 사전 교섭을 통해 난제를 최대한 정리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예측불가 스타일에 대비한 ‘이중 안전망’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정상회담이 공동성명으로 마무리될지, 아니면 트럼프의 SNS 메시지로 대체될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더퍼블릭 / 오두환 기자 actsoh@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