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 홈플러스 매장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8/273250_273934_1743.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기업 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15개 점포를 차례대로 폐점하는 고강도 자구책을 꺼내들었다. 입점 점주들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의 사재 출연 약속 이행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홈플러스는 지난 13일 "전사적인 긴급 생존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경영 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자금 압박이 가중되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폐점 소식을 전했다. 회생 신청 5개월이 지났지만 뚜렷한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은 가운데 전체 임대 점포 68개 중 임대료 조정 협상에 진전이 없는 15개 점포의 문을 닫기로 한 것이다.
폐점 대상 점포는 시흥점, 가양점, 일산점,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문화점, 전주완산점, 동촌점, 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이다. 이로써 홈플러스 전국 매장 수는 기존 125개에서 102개로 줄어든다. 회생 이전 폐점 8곳을 포함하면 총 23개 점포가 문을 닫게 되는 셈이다.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대표는 전 직원 메시지에서 "현재 상황이 지속될 경우 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울 수 있다"며 "절체절명의 위기"라고 강조했다.
사측은 "일부 대형 납품업체가 정산 주기를 단축하고, 7월 민생 지원금 사용처에서 대형마트가 제외돼 매출 감소 폭이 확대됐다"고 현금 흐름 악화 이유를 설명했다.홈플러스는 폐점 점포 직원 1300여 명은 인근 점포로 재배치해 고용을 유지하고, 본사 직원 1300여 명을 대상으로는 희망자에 한해 무급휴직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점주, 노동자들은 반발하고 있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지부장은 "점포 한 곳이 문을 닫으면 노동자, 입점 상인, 납품업체 직원 등 평균 약 1000명이 일자리를 잃는다"며 "MBK는 홈플러스 폐점을 즉각 중단하고 회사를 살리기 위한 실질적 자구 노력부터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병국 홈플러스 입점점주 비상대책협의회 회장도 14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MBK는 지난 10년간 투자금 회수에만 혈안이 돼 경영 정상화에는 관심이 없었다"며 "김병주 MBK 회장이 홈플러스 인수 당시 약속한 투자금 1조 원과 회생 신청 이후 약속한 사재 출연을 즉각 이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권도 가세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국회 기자회견에서 홈플러스의 대규모 폐점 계획을 대주주 MBK의 '먹튀 선포'로 규정했다. 민 의원은 "홈플러스의 긴급 생존경영 체제 선포는 회생절차를 악용한 먹튀 계획"이라며 국회 청문회를 통해 MBK의 책임을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허성무·권향엽 의원, 정혜경 의원, 한창민 의원과 노동자·점주·채권 피해자 대표들이 함께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6월 서울회생법원에서 회생계획 인가 전 M&A 허가를 받았으나, 아직 뚜렷한 인수 의향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노사 합의체인 한마음협의회는 "회생 장기화는 기업 가치 하락으로 이어지므로 인가 전 M&A 성사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홈플러스의 상거래채권(ABSTB) 피해액은 4618억원에 달한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