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메리츠금융지주가 홈플러스 최대주주 MBK파트너스를 공개 저격했다는 보도에 이목이 쏠린다.
2일 투자은행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채권단인 메리츠금융은 최근 'MBK & 홈플러스 회생 관련 주요 쟁점 설명자료'를 작성했다. MBK가 내놓은 홈플러스 지원책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한 내용이다.
MBK는 지난달 24일 공식 사과문을 통해 2000억 원의 추가 증여 계획을 밝혔다.
MBK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는 점 깊이 반성한다"며 "홈플러스의 기업 회생은 단순한 재무적 실패가 아니라, 국민 일상과 밀접하게 연결된 기업의 대주주로서 얼마나 무거운 책무를 온전히 다하지 못하였음을 절실히 깨닫게 해줬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께 드린 상처와 실망에 비하면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추가적으로 사회적 책임 이행 방안을 발표했다.
MBK는 인가 전 M&A(인수합병) 과정에서 인수인의 자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향후 발생할 MBK의 운영수익 중 일부를 활용해 최대 2000억 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메리츠금융은 "MBK가 회생절차 개시 이후 채무자인 홈플러스에 3000억원을 직·간접 지원을 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김병주 회장의 개인 증여(약 400억 원)와 채무자의 DIP(기업회생 절차 개시 기업에 자금을 대출해 주는 구제금융) 대출에 대한 MBK 임원의 연대보증(약 780억 원)이 전부"라고 했다.
이어 "2000억 원 무상 증여도 구체적인 지원 주체와 시기별 금액, 방식, 조건 유무 등을 소상히 밝혀야 한다"며 "현금성 지원이 아닌 대출 등 형태라면 또다시 면피성 지원책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향후', '최대' 등의 표현으로 미뤄볼 때 최소한의 증여만 하고 싶단 속내를 보여준 것으로 보인다"고 폄하하기도 했다.
메리츠는 MBK가 꾸준히 강조해 온 홈플러스 보통주 2조5000억 원에 대해서도 사실상 "생색내기에 불과한 휴지조각"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을 신뢰하고, 이에 투자한 투자자들이 갑작스러운 기업회생 신청으로 피해를 본 만큼 MBK가 이들에 대해서도 책임 있는 자세로 변제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며 홈플러스 전자단기사채(ABSTB) 투자자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끝으로 "MBK의 홈플러스 기업회생신청은 지난 10년 간 경영 실패의 결과를 죄 없는 다수의 이해관계자에게 전가하는 행위"라며 "주주인 MBK의 유의미한 재무적 지원책 없이 이들의 희생만을 강요하는 것은 개인부터 기관까지 죄 없는 수많은 직·간접피해자를 양산하고,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하는 사모펀드의 폐해"라고 비판했다.
메리츠금융은 지난해 5월 홈플러스 점포 약 63곳을 담보로 선순위(트랜치A) 대출 총 1조3000억 원을 대출을 실시했다. 메리츠증권이 6551억 원, 메리츠화재와 메리츠캐피탈이 각각 2807억 원을 빌려줬다.
지난 5월까지 1년치 이자와 수수료 등을 포함해 약 1300억 원을 받았고, 원금 역시 1000억 원 이상 회수했다. 지난 5월부턴 원금과 이자는 유예된 상태다.
홈플러스의 금융권 대출이 1조4461억 원인 점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차입이 메리츠금융에서 이뤄진 셈이다.
4조8000억 원에 달하는 홈플러스의 청산가치에 따라 원금 회수에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지만, 이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전에 평가한 가치로 감정평가액과 매각가액 괴리가 커 대출금을 전액 회수하진 못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편, MBK파트너스는 올해 3월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후 같은 해 6월 법원이 인가 전 M&A 방식을 허용하면서, 회생 이전 기업 매각을 우선순위로 해 매각을 추진해 왔다.
하지만 마땅한 원매자를 찾지 못해 서울회생법원과 홈플러스 매각 주관사인 삼일회계법인은 추석 연휴 직후 홈플러스 매각 공고를 내고 공개경쟁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