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종연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거센 논란을 빚고 있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끝내 임명하기로 하면서, 정치권은 물론 좌파 시민사회단체까지 들끓고 있다. 특히 강 후보자의 갑질 행각이 사실상 청문회 과정에서도 제대로 해명되지 못한 상태에서 이뤄진 임명 강행에 대해 “이 정권의 도덕 기준은 결국 제 식구 감싸기냐”는 거센 비판이 터져 나오고 있다.
22일 정치권 등을 종합하면, 지난 문재인 정부 당시 강 후보자는 자신의 지역구에 ‘해바라기센터’를 설치하려다 예산 확보에 실패하자, 기획재정부 예산을 삭감하며 보복성 갑질을 했다고 조선일보가 보도했다.
정영애 전 여성가족부 장관은 지난 20일 지인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부처 장관에게도 ‘지역구 민원 해결 못 했다’며 관련도 없는 예산을 삭감하는 의원을 여가부 장관으로 보낸다니 정말 기가 막힌다”고 분노를 표했다. 강 후보자가 당시 “하라면 하는 거지 무슨 말이 많으냐”고 고함을 쳤다는 정황도 함께 전해졌다.
한 국회 관계자는 조선일보에 “지역구 사업 추진이 무산되자 정부 부처 운영경비를 볼모로 예산 보복을 했다”며 “같은 여당 내에서도 ‘이래서 되겠느냐’는 자성론이 있었다”고 증언했다.
민주당, 갑질도 ‘상대적?’…“지켜봐야” 뻔뻔한 항변
그럼에도 민주당은 강 후보자 임명을 옹호하고 나섰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YTN 라디오에서 “갑질은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측면이 있다”면서, “반대 진술도 많다”고 책임을 회피했다.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청문회에서 사과했고, 이제는 일하는 것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며 낙마 요구를 일축했다.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아예 “강 후보자 임명은 남북전쟁 승리를 이끈 링컨 대통령의 결단과 같다”는 궤변까지 내놨다.
민주당 한 의원은 “갑질 의혹은 임명 후 낮은 자세로 풀어가면 된다”며 “능력으로 만회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평소 윤석열 전 대통령을 ‘알코올 의존증 환자’에 비유하던 민주당이, 이제는 같은 비유로 자신들을 포장하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 [김현정 의원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7/270790_271370_1223.jpg)
야당·좌파시민사회·보좌진 전방위 반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민의 상식에 반기를 드는 선전포고”라며 강하게 비판했고, 천하람 개혁신당 원내대표도 “수백만 대한민국 을(乙)들과 싸우겠다는 것이냐”고 꼬집었다.
조국혁신당 역시 “강 후보자는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진보당 김재연 상임대표는 “철학도, 능력도, 감수성도 부족하다”며 “자진사퇴하라”고 직격했다.
국회 보좌진들은 SNS를 통해 “우리도 가정의 가장이며 사람이다. 갑질을 당해도 싸다는 사람은 없다”는 취지의 글을 올리고 있다. 민주당 보좌진 내부에서도 “앞으로 국회에서 갑질 의혹 제기를 누가 감히 할 수 있겠냐”는 자조가 나왔다.
좌파진영까지 등 돌린 강선우
민주노총은 21일 성명을 내고 “강 후보자는 여가부의 역할에 대한 철학도 이해도 없는 인물”이라며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비판했다.
이어 “보좌진에 대한 갑질과 거짓 해명 의혹은 공직자로서 치명적인 결함을 의미한다”며 “직장 내 약자에게 부적절한 언행을 한 인물이 여가부 장관이 된다는 건 시대역행”이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참여연대도 논평을 내고 “강 후보자 임명은 ‘제 식구 감싸기’이자 국민 신뢰를 훼손하는 일”이라며 “지명은 철회돼야 한다”고 요구했다.
청문회 과정에서의 거짓 해명도 문제 삼았다. 참여연대는 “공적 권한의 사적 남용과 거짓말은 공직자 부적격 사유로 충분하다”며 “현직 의원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장관으로 임명돼야 할 이유를 찾기 힘들다”고 단언했다.
민심도 돌아섰다...이재명, 취임 후 여론조사 첫 하락
여론도 냉정하게 반응하고 있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7월 14~18일 전국 성인 251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신뢰수준 95%, 오차범위 ±2.0%p)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 평가는 62.2%로, 일주일 전(64.6%)보다 2.4%p 하락했다. 부정 평가는 30.0%에서 32.3%로 2.3%p 상승했다.
정당 지지도 역시 민주당이 50.8%로 5.4%p 하락했고, 국민의힘은 27.4%로 3.1%p 상승했다. 리얼미터는 “강선우·이진숙 후보자의 청문회 실패와 야당의 공세가 민주당 지지율 하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더퍼블릭 / 김종연 기자 jynews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