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미희 기자]수도권 아파트는 연일 ‘불장’을 이어가는 반면 지방 아파트의 경우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19일 정부가 지방 아파트 미분양 해소를 위해 일정 기준을 갖춘 준공 전 미분양 아파트를 향후 되파는 조건으로 분양가의 50% 가격에 사들이는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이번 추경에서 지방의 준공 전 미분양 아파트를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환매조건부로 매입한 뒤 준공 후 사업 주체에게 되파는 ‘미분양 안심환매’ 사업에 주택기금 3천억원을 배정했다.
매입 대상은 공정률이 50% 이상이고 HUG의 분양보증에 가입한 지방 아파트다.
미분양된 가구를 HUG가 준공 전 단계에서 분양가격의 50%에 일단 매입해 건설사에 유동성을 제공하면 건설사는 이를 통해 PF 대출을 상환하거나 건설비용을 충당해 사업을 이어갈 수 있게 된다.
건설사는 준공 후 1년 내에 수분양자를 찾아 HUG로부터 받은 매입가와 금융비용 등을 돌려주고 아파트를 되사면 된다. 끝내 매수자를 구하지 못하면 소유권은 HUG로 넘어가고 공매 등을 통해 처분된다.
이는 정부가 미분양 해소를 지원하되, 건설사들이 할인분양 등을 통해 스스로 미분양 물량을 해결하는 업계 자구 노력도 촉진한다는 취지다.
이러한 가운데 ‘평택’이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도 나온다. 앞서 지난 3월 경기 평택은 4년 10개월 만에 다시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하지만 수도권에 속한다는 이유로 정부 대책의 지원 대상에선 벗어나 있는 상태다.
7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평택은 최근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신규 지정됐다.
평택은 2018년 5월부터 2년 가까이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가 부동산 활황의 온기가 경기 외곽지역과 지방으로 퍼진 2020년 6월 제외됐다. 그러다 4월 10개월 만에 다시 관리지역이 된 것이다.
평택 미분양은 지난해 1월만 해도 361가구 수준이었으나 올해 1월 6천438가구로 18배 급증했다. 경기 지역 전체 미분양의 42.5%가 평택에 집중돼 있다. 올해 1월 중 경기도 전체 미분양이 2천181가구 증가했는데, 평택에서 증가한 미분양 주택만 2천367가구다.
평택 미분양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반도체 산업 불황이 꼽힌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공장 건설이 지연되면서 지난해 11∼12월 청약을 진행한 단지들은 처참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평택 브레인시티 일반산업단지 인근 A아파트의 1·2순위 청약 땐 864가구 모집에 신청자가 94가구에 그쳤다. B아파트 역시 1·2순위 청약 때 1천933가구를 모집했으나 신청자는 312명뿐이었다.
한편 26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평택은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하락한 지역으로도 꼽혔다.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경기도 평택 집값은 지난해 말 대비 3.64% 내려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내린 지역으로 꼽혔다.
이어 대구 북구(-3.44%) 대구 서구(-3.26%) 경남 거제(-3.11%) 대구 남구(-2.71%) 등 지역의 아파트 가격 하락이 두드러졌다. 경기권에선 안성이 2.62% 내려 평택 뒤를 이었다.
더퍼블릭 / 김미희 기자 thepublic3151@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