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이틀 간의 방한 일정을 마치고 금일(1일) 출국했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자정을 지나 전용기편으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돌아갔다.
그는 지난달 29일 입국한 이후, 30일부터 한국 주요 기업인들과 잇따라 면담한 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과의 만찬을 끝으로 공식 일정을 마무리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막후 실세’로 통하는 트럼프 주니어의 이번 방한은 평소 친분이 두터운 정 회장의 초청으로 성사된 것으로 알려지며, 트럼프 행정부와의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재계의 요청으로 인해 이뤄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방한 둘째 날인 지난달 30일 하루종일 국내 재계와의 면담을 진행했고, 10~30대 그룹과 이름 있는 중견기업까지 20명 안팎의 총수·회장, 최고경영자(CEO)가 면담 장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극도의 보안 속에 트럼프 주니어와 얼굴을 마주한 재계 인사 중에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한화호텔앤드리조트 미래비전총괄 부사장 등 한화 3형제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이 포함됐다.
이재현 CJ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의 사촌인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이해진 네이버(NAVER) 의장 등도 면담장에 나타났다. 중견기업 인사로는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과 부동산 개발회사인 엠디엠그룹 문주현 회장 등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다.
금융계에서도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이 유일하게 트럼프 주니어와 대면했다. 기대를 모았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면담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해외에 체류 중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끝내 만남이 불발됐다.
이 자리에서 어떤 얘기가 오고갔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진 않는다. 그러나 재계에서는 미국의 상호관세 문제에 대한 내용을 논의했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