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퍼블릭=김영일 기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을 집행할 당시 대통령경호처에 배속된 경찰 소속 101·202경비단이 대통령 관저 길을 터준 것과 관련, 배후에 경찰 내 노조 조직과 다름없는 ‘경찰직장협의회’ 및 민노총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차명진 전 새누리당(옛 국민의힘) 의원은 6일자 페이스북에서 “경찰의 난이다. 그리고 배후에는 주사파 민노총이 있다”며 “지금 경찰 조직은 공수처와 공조하지만 공수처보다 강경하다. 국가수사본부는 내란을 기정사실화하고 법절차 따위는 제쳐놓은 채 수사가 아닌 작전을 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차명진 전 의원은 “대통령을 지키도록 법에 규정된 101, 202경비단은 항명했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당시 대통령)관저에서 경찰 특공대는 공수처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경호처와 피를 부르는 몸싸움을 했다”고 했다.
차 전 의원은 이어 “한남동에서 민노총이 불법적으로 도로를 점거할 때도 경찰이 알아서 길을 터줬다. 자기네 편인 의경이 민노총한테 죽도록 두들겨 맞았는데 그냥 방치했다”면서 “왜일까? 지금 경찰의 실질적 지휘부는 공식 라인이 아닌 ‘경찰직장협의회’라는 사조직으로, 경찰 직협은 경찰 내 노조 조직”이라고 지적했다.
차 전 의원은 “그게(노조 결성) 법적으로 불가하니 직협이라는 이름의 외피를 두르고 있다. 그들은 주사파(북한 지도 이념인 주체사상을 지지하는 친북 성향의 주체사상파) 본대인 민노총과 깊이 교감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3만명이 회원인 경찰 직협 내부망을 통해 현 정세에 대한 민노총의 태도가 신속히 유포된다. 자연히 경찰 지도부는 부하들의 주사파 스러운 강경노선을 눈치 보고 끌려다니다, 삽시간에 민노총 노선이 경찰의 공식 입장으로 확립된다”고 주장했다.
차 전 의원은 “이들이 지금 자신들의 내부망을 통해 윤석열 대통령 2차 체포 결행을 압박하고 있으며 전국의 기동타격대를 총동원하라고 부추기고 있다”고 했다.
차 전 의원은 “그러나 그 못지않은 힘으로 저변에 주사파의 책동이 작용하고 있다. 87년 항쟁 때랑 비슷하다. 주사파 몸체가 전대협에서 민노총, 직장협의회로 바꼈을 뿐”이라며 “좌파가 한남동 대첩에서 성공했더라면 내부 균열이 없었을 거고 주사파의 정체도 안 드러났을 거다. 경찰까지 깊숙히 침투한 주사파. 법원, 검찰, 국회는 예외일까?”라고 반문했다.
이어 “누가 주사파는 사라졌다고 떠드는가? 여순반란 때랑 너무 유사하지 않는가?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각성하는 정도에 따라 자유 우파는 승리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금 공수처에 손가락질하고 거꾸로 경찰 두둔하기 바쁜 놈들, 주사파 본색을 모르거나 외면하는 거다. 오죽하면 ‘한딸(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강성 지지층) 김종혁’이까지 공수처 비아냥에 가담하고 있다. 쫌 이상하지 않나? 여우 쫓아내려다 호랑이 부르지 마라”고 덧붙였다.
다만, 경찰직장협의회 위원장으로 거론되는 인사는 현직이 아닌 전직으로 이번 사안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직협 위원장으로 지목된 K는 일찍이 탄핵을 당해 이번 사안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K씨 측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10월 K씨가 직선제로 경찰직협 위원장으로 당선된 건 맞지만, 일부 대의원들이 K씨를 탄핵하고 선거를 다시 간선제로 바꿔서 현재는 김모 씨가 3기 직협 위원장을 맡고 있다”고 설명했다.
K씨 측은 “우리도 너무 억울해서 지금 소송을 진행 중인데, 이런 상황에 경찰직협이 민노총과 교감하고 있고, 그 인사가 K씨라고 특정되니, 우리 입장에서는 너무 억울하고 속상하다”고 호소했다.
이어 “솔직 말해서 경찰직협은 일선 경찰들의 근무 개선 문제나, 복지 증진 정책에 신경을 써야 한다”며 “이런 정치적 문제에 휘말리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K씨 역시 <본지>에 “제가 지난해 10월 당선되자 마자 일부에서 저를 탄핵시켜 버리는 바람에 현재 3기 경찰직협이 출범한 상태”라며 “이런 상황에 제가 정치적 문제에 개입한 것처럼 알려져 있어 너무나 억울하다”고 토로했다.
K씨는 그러면서 “저는 정치 문제에 관심도 없고 개입하는 건 더더욱 꺼려한다”며 “경찰관이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지 어느 한쪽 편을 드는 건 아니라고 본다”고 부연했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