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불장에 업비트·빗썸 직원들도 ‘고연봉 파티’

코인 불장에 업비트·빗썸 직원들도 ‘고연봉 파티’

  • 기자명 손세희 기자
  • 입력 2024.11.14 11:38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일 오전 서울 빗썸라운지 강남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돼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13일 오전 서울 빗썸라운지 강남점에 비트코인 가격이 표시돼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더퍼블릭=손세희 기자] 가상자산 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국내 주요 거래소들이 실적 급증을 기록, 직원들에게 고연봉을 선사하고 있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는 원화 마켓에서 일반 주문 시 0.05%, 예약 주문 시 0.139%의 거래 수수료를 부과한다. 거래 규모가 커질수록 거래소가 챙기는 수수료도 증가하는 구조다.

실제로 업비트를 통한 가상자산 거래는 13일 오후 5시 30분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약 22조원에 달하는 거래대금이 오갔다. 이는 유가증권시장(10조 8640억원)과 코스닥시장(6조 8720억원)의 거래대금을 합친 것보다도 더 큰 규모다. 업비트는 국내 시장에서 약 70%의 점유율을 보유하며 거래소 중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자랑한다. 과거 비트코인과 같은 주요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등할 때 업비트의 실적도 눈에 띄게 증가한 바 있다.

두 번째로 큰 거래소인 빗썸은 업비트보다 약간 낮은 0.04%의 거래 수수료를 적용 중이다. 빗썸의 13일 하루 거래대금은 약 8조 8383억원에 달했다. 업비트의 거래대금에 비해 절반 수준이지만 여전히 코스닥시장보다 큰 규모로, 거래소의 성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가상자산 거래소 직원들의 급여는 다른 산업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올해 상반기 동안 직원 624명에게 1인당 평균 1억 3373만원의 급여를 지급했다. 이는 4대 시중은행의 상반기 평균 급여인 6050만원의 두 배가 넘는 액수로, 업비트가 얼마나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빗썸의 경우 직원 1인당 상반기 평균 급여는 5700만 원으로, 업비트보다는 적지만 여전히 상당한 수준이다.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급여 외에도 다양한 인센티브와 보너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직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

업비트와 빗썸은 가상자산 가격 상승으로 인해 자체 보유한 자산의 가치도 급증했다. 두나무는 올해 상반기 말 기준으로 약 1만 4641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어 1비트코인의 가격이 약 1억 2000만 원이라고 가정할 경우, 비트코인 보유액만으로 약 1조 7600억원에 달한다. 이 외에도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 9089개, 테더 926만 4334개 등을 보유하고 있어 가상자산 가격이 오를수록 자산 규모도 늘어나게 된다.

빗썸은 127개의 비트코인과 5386개의 이더리움을 보유해 업비트에 비해 자산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다. 그러나 여전히 상당한 양의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 증가가 예상된다.

더퍼블릭 / 손세희 기자 sonsh821@thepublic.kr

저작권자 © 더퍼블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응원하기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