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최얼 기자] ] 오는 12월부터 정부와 한국석유공사가 '대왕고래' 가스전 개발을 본격화하는 가운데 올해 들어갈 '착수비' 성격의 재원 100억원은 현재 확보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향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기 위해서는 애년부터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재원이 꾸준히 투입돼야 해 국회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14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석유공사는 첫 탐사 시추를 위한 착수금 성격의 예산 100여억원을 마련해 둔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올해 12월부터 4개월 간 약 1000억원를 투입해 7개의 유망구조 중 1곳에서 탐사 시추를 할 계획으로, 이미 노르웨이 시드릴사와 시추선 임대 등 다수의 관련 용역 계약을 맺었다.
착수비 성격의 100억원을 제외한 나머지 900억원은 첫 탐사 시추 작업이 마무리되는 시점인 내년에 지급될 예정이기 때문에 내년도 예상에 반영돼야 한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약 20%의 성공률을 고려했을 때 향후 5년간 최소 5개의 시추공을 뚫어야 할 것으로 전망한다. 시추공 1개에 약 1000억원씩, 5000억원가량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산업부는 지난 13일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내년부터 석유공사 지원을 위해 정부 출자와 더불어 '성공불융자'로 불리는 해외자원개발 특별융자 제도 활용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했다.
성공불융자는 해외자원개발 등 위험이 큰 사업을 하는 기업에 정부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다. 사업이 실패하면 융자금을 면제해주고, 성공하면 원리금 외에 특별 부담금을 추가로 징수하는 제도다.
산업부는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의 정부 지원 필요성이 커진 만큼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 공기업인 석유공사에 성공불융자를 재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야당은 정보 공개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는 상황에서 시추 예산과 관련해 협조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시추 탐사가 본격화하는 내년 이후 예산 확보 여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지난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진상규명 없이는 시추 예산을 늘려줄 수 없다"며 "국회의원들의 자료 제출 요구도 거부하고 있는데, 이 자체가 의혹을 인정하는 꼴 아닌가"라며 비판했다.
더퍼블릭 / 최얼 기자 chldjf1212@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