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김영일 기자] 박근혜 정권에서 이른바 ‘문고리 3인방’으로 지목됐던 인사 중 한 명인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실 3비서관으로 발탁된데 대해, 야권에서 조롱 섞인 비판을 제기하고 있다.
그러나 야권의 조롱 섞인 비판과 달리, 정호성 비서관이 개인 영달을 위해 부정부패를 저지른 적도 없거니와 특히 업무능력이 탁월하고 자기 관리를 잘하는 점 등이 높이 평가돼 발탁됐다는 게 대통령실의 입장이다.
24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이 시민사회수석실 산하 3비서관으로 합류했다.
정호성 신임 비서관은 2016년 청와대 기밀 문건을 최순실(개명 후 최서원) 씨에게 유출한 혐의로 구속기소 됐는데, 윤석열 대통령은 당시 특검과 서울중앙지검장을 지내며 정 비서관을 수사한 바 있다.
이후 정 비서관은 1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은 뒤 2018년 만기 출소했고,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22년 12월 그를 사면·복권했다.
윤 대통령이 정 비서관을 발탁한데 대해, 야권에선 조롱 섞인 비판을 내놓고 있다.
조국혁신당 김보협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아나바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자)’ 정신이 윤석열 정부의 새로운 인사 원칙이냐”며 “동네 재활용센터에서도 쓸 수 있는 물건만 재활용하지 써서는 안 될 물건이나 쓸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진 물건은 폐기처분 한다”고 비판했다.
탄핵을 대비하기 위한 발탁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와의 인터뷰에서 “항간의 소문에는 (윤 대통령이)탄핵에 대한 대비가 필요했던 것이 아니냐는 얘기가 돈다”며 “왜 (대통령)본인이 수사한 사람들을 이렇게 자꾸 기용하는지. 수사를 하다 보니 이 사람들이 어떤 특·장점을 갖고 있다는 걸 알게 된건가”라고 비꼬았다.
야권의 이런 조롱 섞인 비판과 달리, 정 비서관이 개인 영달을 위해 부정부패를 저지른 적도 없거니와 특히 업무능력이 탁월하고 자기 관리를 잘하는 점 등이 높이 평가돼 발탁됐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대통령께서 과거 정 비서관을)수사했을 당시 개인적으로 저지른 부정부패가 하나도 없었던 것으로 안다. 그리고 자기 관리를 아주 철저히 했고, 본인 처신도 굉장히 잘했기 때문에 그런 점이 높이 평가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한편에서는 박 전 대통령의 요청이나 부탁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의심을 하는데, 그런 게 아니라 (정 비서관이 박근혜 정부에서)4년여 동안 청와대에서 근무할 당시 매일 야근하면서 일만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업무능력도 굉장히 탁월하고 주변 관리 잘하고 처신이 좋았기 때문에 그런 능력을 보고 발탁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더퍼블릭 / 김영일 기자 kill0127@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