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우원재] "진심으로, 공산화의 시작"...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대한민국](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10/280718_281827_169.jpg)
[더퍼블릭=정진철 기자] 이재명 정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하고 대출과 실거주 의무를 초강력 규제하며 개인의 재산권을 부정하는 공산당식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이는 내 집 마련을 꿈꾸는 평범한 청년들의 희망을 꺾고, 시장 질서를 파괴해 계층 상승의 사다리를 걷어차는 결과를 낳을 것이다.
1. "왜 더 넓게 살려 하느냐?"…이사는 공무원 허락 사항인가
문재인 정부 시절 강남 토지거래허가제 시행 때 이미 충격적인 사례가 있었다. 30평대에서 40평대로 이사를 원했던 4인 가구 A씨는 구청 공무원에게 "4인 가족에게 30평대도 충분한데 왜 넓은 곳으로 가려 하느냐"는 황당한 심사를 받고 결국 이사 허가를 받지 못했다.
이재명 정부는 이 실패한 정책을 이어받아 서울 25개 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 등 수도권 전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다. 이제 국민 절반 가까이는 내 집을 사고팔기 위해 '이사 목적, 가족 현황' 등을 밝히는 반성문 형태의 신청서를 제출하고 공무원에게 '허가'를 구해야 한다.
평론가 비판: 합법적인 개인 재산 거래에 국가가 간섭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의 근간을 부정하는 행위다. 투기 방지라는 모호한 명분으로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을 악마화하고, 국민을 공무원에게 빌어야 하는 '을'로 전락시키는 공산 독재 국가 방식이다.
2. 청년들의 '내 집 마련' 꿈을 짓밟는 금융 규제
이재명 정부는 토지거래허가제 확대와 함께 대출 규제라는 강력한 폭탄을 터뜨렸다.
-
주담대 원천 금지: 이미 집을 가진 사람에 대한 주택 담보 대출은 원천 금지된다.
-
무주택자 대출 축소: 무주택자도 집값의 40%까지만 대출이 허용된다. (15억 초과 시 4억, 25억 초과 시 2억 등으로 추가 규제)
결과: 집값의 60%에 달하는 현금을 미리 마련해야만 집을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아무리 성실하게 일해도 부모의 지원 없이 수억 원의 목돈을 모으기 힘든 평범한 청년들에게는 "수도권에 내 집 마련은 꿈도 꾸지 말라"는 선언과 다름없다. 부동산을 통한 재산형성 기회 자체를 박탈하여 계층 이동의 사다리를 부숴버렸다.

![[호밀밭의 우원재] "진심으로, 공산화의 시작"...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대한민국](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10/280718_281829_1736.jpg)
3. '갭 투자'마저 막아버린 '2년 실거주 의무'
수도권 전역에 2년간 실거주 의무를 부과한 것 역시 청년들에게 치명타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산 뒤 목돈을 모아 나중에 입주하는 '갭 투자' 방식이 원천 차단된다. 여윳돈이 부족한 청년들이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룰 수 있게 했던 사실상의 유일한 사다리가 제거된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전세 매물 자체가 급감하면서 전세 시장의 폭등과 주거 불안정 심화가 예상된다. 문재인 정부 때의 실패가 '더 매운맛'으로 반복될 것이라는 경고다.
4. 시장 통제는 공산화의 시작
역대 좌파 정권에서 집값이 급등하고 우파 정권에서 안정되는 패턴은 반복됐다. 이는 시장 질서를 인위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정치인들의 '치명적 자만' 때문이며, 자생적 질서를 교란하여 시장을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재명 정부가 강력한 규제로 시장을 통제하려다 실패하자, 이제는 "시장 자체를 찢어버리겠다는 공산 혁명과 다를 바 없는" 과격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평론가는 "개인의 사유 재산권이 본격적으로 부정되기 시작한 지금이 바로 공산화의 시작일 수 있다"며, 국민들의 무관심과 침묵 속에서 대한민국의 자유가 침식되고 있음을 강력히 경고했다.
더퍼블릭 / 정진철 기자 jeong344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