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퍼블릭=안은혜 기자]김성회 전 다문화비서관이 "갤럽이 공산당식 여론조사기관 다 됐다"고 우려했다.
김 전 비서관은 24일 자신의 SNS에 "예전에 갤럽에 근무한 적 있는 후배를 만났다"며 "그 후배는 갤럽의 노조 분쟁으로 사실상 노조 출신들에 의해 장악된 갤럽이 더 이상 믿을만한 여론조사기관이 못된다고 했다"는 일화를 언급했다.
그는 그 이유를 세 가지로 나눴다.
그는 "하나는 선관위로부터 받는 안심번호부터 왜곡될 소지를 갖고 있다는 것"이라며 "사람의 정치성향의 변화는 많지 않기 때문에 선관위에서 안심번호를 줄 때부터 일정 비율을 제공하면, 얼마든지 결과를 왜곡시킬 수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두번째는 갤럽이나 NBS는 자동응답전화(ARS)가 아닌 전화면접조사이기 때문에 정치적 성향이나 신분 노출을 꺼리는 사람들이 대답을 기피한다는 것"이라며 "정치적으로 불리한 사람들의 답변이 축소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세번째는 인건비 등의 부담으로 값 싼 알바 전화면접 조사원들을 쓰게되고, 그 과정에서 중국계 조선족 출신 조사원들을 쓰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라며 "숙련되지 못한 조사원이나, 여론조사 기관을 좌우하는 실권자에 의해 결과가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특히 갤럽의 여론조사는 믿을 것이 못된다는 말"이라며 "그런데도 조중동, 옛날 정치인들, 구태 언론인들은 '갤럽은 미국에서도 권위있는 기관'이라고 한다. 실제로 알고 보면, 미국의 갤럽과 한국의 갤럽은 아무 상관도 없고 그저 이름만 모방한 '짝퉁'인데도 그렇게 믿는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실제는 좌파들의 소굴이고, '여론조사기관'이 아니라 '여론왜곡기관'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더퍼블릭 / 안은혜 기자 weme35@thepubli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