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1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 '회복을 위한 100일, 미래를 위한 성장'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cdn.thepublic.kr/news/photo/202509/276675_277462_1151.jpg)
[더퍼블릭=양원모 기자] 가을철 전력 수급 불안정이 심화되면서 전력 당국이 비상 대응 체제에 들어갔다. 그러나 정책 방향과 전력 운영 현실은 엇박자를 내는 모습이다. 재생 에너지 확대로 도리어 출력 제어와 블랙아웃 우려가 고조되고 있는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취임 100일 기자 회견에서 "1~2년 안에 태양광·풍력을 대대적으로 건설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16일 전력거래소, 한국전력 등과 함께 '전력계통 비상대응 모의훈련'을 진행한다. 이어 19일에는 '가을철 경부하기 계통 안정화 대책 기간' 운영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계절적 수요 저하 속 태양광 발전이 급증하면서 봄·가을마다 공급 과잉이 반복되고 있어서. 공급 과잉은 잉여 전력을 넘어 주파수 불안정으로 이어져 대정전을 유발할 수 있다.
올해 상반기 재생 에너지 출력 제어량은 72.3GWh로, 지난해 연간 제어량(20GWh)의 3.6배에 달한다. 이는 국민 1800만명이 하루 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원자력발전소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수력원자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원전 출력 제어는 25회로, 2020년 2회, 2022년 4회, 2023년 7회에서 급증했다. 주요 원전 대부분이 제어 대상에 포함됐다.
전문가들은 비상시에만 쓰이던 출력 제어가 일상화되고 있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전력 계통 운영 능력이 한계에 달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봄에는 태양광뿐 아니라 연료전지 발전소에도 긴급 출력 제어 지시가 내려졌다. 날씨에 상관없는 기저 전력까지 멈추게 한 것은 처음으로, 전력 불균형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지적이다.
그러나 현장의 긴장감과 달리 정부 정책은 '속도전'에 방점이 찍혀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앞선 기자 회견에서 "가장 빠른 전력 공급은 태양광·풍력"이라며 단기간 대규모 건설을 지시했다. 그러나 한전의 부채, 송전선 건설 반대 등으로 전력망·ESS 확충은 답보 상태다. 이런 괴리 속에 재생 에너지 예산은 내년도 50% 증액됐고, 오는 11월부터는 80면 이상 주차장에 신재생 에너지 설비 설치가 의무화된다.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는 "재생 에너지 보급 확대로 계절에 따라 전기가 남아돌아 정전이 걱정되는 시대가 됐다"며 "재생 에너지 확대만을 앞세우기보다 적절한 통제 방안을 병행해야 안정적 전력 공급이 가능하다"고 <조선일보>에 말했다.
더퍼블릭 / 양원모 기자 ilchimwang@naver.com